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 승강기 안전장치 요약정리

 

1. 승강기 안전장치

· 리밋 스위치 : 최상.최하층(과도한 한계를 벗어나 계속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
· 파이널 리밋 스위치 : 리밋 스위치의 미작동 대비 리밋 스위치 위에 설치
· 슬로다운 스위치 : 감속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강제적으로 감속. 리밋스위치 전
· 종단층 강제 감속 장치 : 속도와 위치를 검출하여 종단층에 접근하는 속도가 규정 초과시

  브레이크 자고동. 카 상단, 승강로 내부, 기계실 내부에 설치

· 로크다운 비상정치 장치 : 카의 비상정지 장치 작동시 균형추, 와이어 로프 등이 관성에 의해

  튀어 오르는 것 방지
· 피트 정지 스위치 : 보수 점검시 스위치를 정지 위치로 하여 작업 중 카가 움직이는 것 방지.

  수동조작. 전도기 및 브레이크로부터 전력이 차단 됨

· 과부하 감지 장치 : 카 바닥 하부 혹은 와이어 로프 단말에 설치 정격하중의 105~110%범위

· 역 결상 검출 장치 : 동력전원의 상이 바뀌거나 결상시 전동기의 전원 차단하고 브레이크 작동

· 권동식 로프 이완 스위치 :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검출하여 동력 차단. 오동작시 주회로 차단위한

  스톱모션 스위치 설치

· 각층 강제 정지 운전 : 범죄활동 방지. 각 층에 정지하면서 목적층까지 주행

· 파킹 스위치 : 기준층의 승강장에 키 스위치를 설치하여 승강장에 카를 휴지 또는 재가동

 

2. 예비전원

·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6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으로 발생하여

  2시간 이상 작동

 

3. 승강기 도어 시스템

· 사고의 약 80%를 점유하는 장치

· 숫자는 도어 매수

· SO는 가로 열기, CO는 중앙열기 UP상하열기(업슬라이딩) : 자동차용이나 대형 화물용

· 도어머신 : 공동주택용 카가 저속으로 주행 중 억지로 문을 여는데 필요한 힘은 20이상,

  카가 정지하고 고장시 5~30

· 닫혀있을 경우 20mm(2cm)이상 열려지지 않아야 함(20mm이내까지 닫혀졌을 때 기동)

· 센터 오픈 방식의 경우는 50mm이상 열리지 않아야 함

· 도어 인터로크 : 정지하지 않는 층 열리지 않게하는 도어 로크와 문이 닫혀있지 않으면 운전이 불가능하게

  하는 도어 스위치로 구성

· 도어 클로저 : 승강장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모든 제약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닫히게 함.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