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막한 도시 속에서 잠시나마 숨통을 틔워주는 공간, 바로 공원입니다. 단순한 휴식 공간을 넘어, 우리 삶에 활력과 영감을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공원, 다채로운 시설로 시민들의 삶을 풍요
공원은 우리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아름다운 꽃과 나무, 분수와 조각상들이 어우러진 조경시설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소, 야유회장, 경로당 등은 삶의 여유를 찾게 해줍니다.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는 그네, 미끄럼틀, 모험놀이장과 같은 유희시설은 동심을 자극하고, 테니스장, 수영장, 골프장 등 운동시설은 건강한 삶을 위한 활력을 불어넣습니다. 또한, 식물원, 동물원, 박물관과 같은 교양시설은 지식과 문화를 향유할 기회를 제공하며, 주차장, 화장실, 매점 등 편의시설은 공원 이용의 편의성을 높여줍니다.

 

이처럼 공원은 다양한 시설을 통해 시민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핵심적인 공간입니다.

 

자연공원의 역사, 자연과 인간의 공존
자연공원은 단순히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하는 공간을 넘어, 자연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계 최초의 자연공원으로 꼽히는 1865년 미국의 요세미티 공원은 현재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1872년에는 세계 최초의 국립공원인 옐로스톤 국립공원이 탄생하며, 자연 보존의 중요성을 전 세계에 알렸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7년 지리산 국립공원이 처음으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탑골(파고다) 공원은 최초의 대중공원으로 시민들의 휴식 공간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러한 자연공원의 역사를 통해 우리는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골프장, 숨겨진 설계 미학으로 완성된 스포츠 공간
골프장은 단순히 운동을 하는 공간을 넘어, 자연을 활용한 예술 작품과 같습니다. 티(Tee)에서 시작하여 그린(Green)으로 이어지는 코스는 섬세한 설계로 완성됩니다. 1~2% 경사를 가진 티(Tee) , 2~5% 경사의 그린(Green)은 골프의 재미를 더하고, 해저드(Hazard)는 연못, 하천, 계곡 등으로 구성되어 전략적인 플레이를 요구합니다. 벙커(Bunker)는 모래웅덩이를 조성하여 장애물을 만들고, 러프(Rough), 페어웨이(FairWay), 에이프런(Apron)은 골프장 풍경에 변화를 주며 게임의 묘미를 더합니다.
골프장은 자연 지형을 최대한 활용하여 흥미로운 운동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계자의 미적 감각과 자연에 대한 이해를 엿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공원은 도시민의 삶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입니다. 우리는 공원을 통해 휴식을 취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며, 지식과 문화를 향유합니다. 또한, 자연공원을 통해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골프장은 단순한 운동 공간을 넘어, 자연과 조화로운 공간 설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입니다.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경관은 우리의 시각적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자연과 인공 환경의 조화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관구성은 기본요소와 가변요소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경관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경관구성의 기본요소
경관구성의 기본요소는 선, 형태, 크기와 위치, 질감, 색채, 농담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들 요소는 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① 형태: 경관의 형태는 기하학적 형태와 자연적 형태로 나뉘며, 특히 자연적 형태는 지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산, 강, 숲 등은 경관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작용합니다.
② 크기와 위치: 경관의 크기와 위치는 그 강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크고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지각 강도가 높아지며, 이는 경관의 위엄과 아름다움을 더욱 강조합니다.

2. 경관구성의 가변요소
가변요소는 광선, 기상조건, 계절, 시간 등으로, 이들은 경관의 느낌과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장소라도 시간대나 계절에 따라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3. 경관구성의 원리
경관구성의 원리는 다양한 유형의 경관을 통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① 파노라마경관: 시야가 제한되지 않고 멀리 트인 경관으로,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조감도적 성격을 지닙니다. 이러한 경관은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통해 자연에 대한 존경심을 불러일으킵니다.
② 지형경관: 특정한 지형적 특성을 가진 경관으로, 예를 들어 설악산의 울산바위와 같은 독특한 지형은 그 자체로 경관의 매력을 더합니다.
③ 위요경관: 수목이나 경사면 등 주변 요소들에 둘러싸인 경관으로, 주로 정적인 느낌을 주지만 중심 공간의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④ 초점경관: 관찰자의 시선을 특정한 점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경관으로, Vista경관이나 통경선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경관은 관찰자가 집중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여 더욱 깊이 있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경관구성의 기본요소와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자연과 인공 환경의 조화를 이루는 데 필수적입니다. 각 요소와 원리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우리의 시각적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경관을 통해 우리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 담긴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조경은 단순히 외부 공간을 꾸미는 것을 넘어,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생활 공간을 창조하는 예술이자 과학이다. 정원과 공원뿐만 아니라 도시 전반에 걸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조경은 더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조경의 다양성과 의미

조경은 좁은 의미로는 집 주변의 작은 정원을 대상으로 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도시와 자연을 포함한 방대한 외부 공간을 포괄한다. 한국에서는 '조경(造景)'이라는 용어로, 중국과 북한에서는 '원림(園林)', 일본에서는 '조원(造園)'으로 불리며, 미국에서는 'Landscape Architecture'로 널리 알려져 있다.

 

조경의 대상은 매우 다양하다. 주택정원부터 도시공원, 자연공원, 문화재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시설에 이르기까지 조경은 우리의 생활공간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도시의 소공원이나 근린공원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국립공원이나 지질공원에서는 자연을 보호하고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문화재의 보호와 활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대의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공간을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조경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

조경 프로젝트는 크게 네 가지 단계로 나뉜다. 첫째, 계획 단계에서는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종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둘째, 설계 단계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능적이며 미적인 3차원 공간을 창조한다. 셋째, 시공 단계에서는 공학적 지식과 함께 식물을 다루는 기술 등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관리 단계에서는 식생과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관리하여 지속 가능한 공간을 유지한다.

조경은 단순한 공간의 아름다움을 넘어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차별화된 디자인과 careful 관리로 조경은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조경 작업은 전문적인 지식과 창의성을 토대로 하는 만큼, 우리의 주위 환경을 새롭게 정의하고 바꾸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제도용구

① 제도판: 고정식 제도판과 이동식 제도판이 있다.

② T자 및 상각자: 제도판 위에 제도 용지를 부착하여 제도를 하는데, 이때 T자나 평행자를 이용하여 평행선을 긋거나 상각자(30도, 45도, 60도)와 조합여 수직선과 사선을 긋는 데 사용한다.

③ 상각축적(스케일): 단면이 삼각형으로 각 변에 1/100에서 1/600까지의 축적 눈금이 새겨져 있으며, 실물의 크기를 도면 내에 축소한 치수로 표시는 데 사용한다.

④ 템플릿: 템플릿은 크기와 다른 원, 사각, 타원 또는 각종 기호 등을 그리기 쉽게 얇은 판(셀롤로이드나 아크릴)에 새겨 놓은 것으로 원형 템플릿은 수목을 표현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⑤ 운형자 및 자유곡선자: 자유로운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한다.

⑥ 제도용 연필

    ⓐ 제도용 연필은 심의 굳기와 진한 정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는데, H의 수가 클수록 단단하고 흐르며, B의 수가 

         클수록 무르고 진하다.

    ⓑ 일반적으로 HB, B, H, 2H 등이 많이 사용된다.

⑦ 제도 용지: 흰색의 얇은 연습용 트레이싱지를 주로 활용한다. (기능사 A3, 기사 A2 사이즈)

제도
용지
크기
A4 A3 A2 A1 A0
용지
규격
210 × 297 297 × 420 420 × 594 594 × 840 840 × 1,188

 

⑧ 기타도구: 컴퍼스, 지우개판, 지우개, 제도용 비, 각도기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주택정원 공간구성

① 주택의 공간: 전정(앞뜰), 주정(안뜰), 후정(뒤뜰), 작업정(작업뜰), 주차공간으로 구분한다.

② 공간별 구성

전정
(앞뜰)
· 대문 ~ 현관에 이르는 공간으로 주택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곳
· 공적 분위기에서 사적 분위기로 들어오는 전이공간
·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목이나 초화류를 식재하고 점경물을 배치
주정
(안뜰)
· 안뜰은 응접실이나 거실 전면의 햇빛이 잘 드는 양지바른 곳에 배치
·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도록 주변에는 적절한 수목이나 시설물을 배치
· 정자, 목재데크, 벤치, 야외탁자, 바비큐장 등 설치
· 전통조경: 앞뜰에는 거목을 식재하지 않는다.
후정
(뒤뜰)
· 대지가 넓은 경우에는 건물의 뒤쪽에 위치하며, 좁을 경우 단순한 통로의 기능
· 외부와 시선차단, 차폐식재, 사생활을 최대한 보호
· 과수, 채소를 식재하거나 놀이시설이나 운동공간 조성
· 전통조경: 부유층의 민간정원에서 유교의 영향으로 부녀자들을 위해 특별히 조성된 곳으로 풍수설에 다라 화계 조성 (괴석, 꿀뚝)
작업정
(작업뜰)
· 부엌과 장독대, 세탁 장소, 창고, 빨리건조대 등에 면하여 위치한 곳
· 통풍과 채광, 배수의 유의, 콘크리트나 타일로 바닥 포장
주차공간 · 승용차 1대: 일반인 2.3m × 5.0cm 이상 확보 (장애인 3.3 × 5.0m 이상)

 

③ 시설물의 종류

휴게시설 · 벤치, 목재데, 셀터, 야외탁자, 바비큐장 등
수경시설 · 연못, 목포, 벽천, 실개천, 분수, 물확, 도섭지 등
점경물
(點景物)
· 야외 조각물, 석탑, 석등, 경관석 등
놀이 및
운동시설
· 그네, 미끄럼틀, 모래터, 철봉, 평행봉 등
조명시설 · 정원등, 잔디등, 수중, 조명등 등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경관분석

경관이란 눈에 보이는 자연경관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경관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토지, 동식물 생태계, 인간적의 사회적 · 문화적 활동을 포함한다.

 

1) 경관요소

점 · 선 · 면 · 점: 외딴집, 정자나무, 독립수, 분수, 음수대, 조각물 등 점적인 요소
· 선: 하천, 도로, 가로수, 냇물, 원로, 생울타리 등 선적인 요소
· 면: 호수, 경작지, 초지, 전답, 운동자 등 면적인 요소
수평 · 수직 · 수평: 안락, 평화, 평등 등의 느낌(저수지, 호수)
· 수직: 극적이고 강한 느낌(독립수, 전신주, 굴뚝, 남산타워)
닫힌공간
열린공간
· 닫힌공간(위요 공간): 계곡이나 수목으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정적인 시설 배치에 적당
· 열린공간(개방 공간): 운동장, 경작지 등과 같이 넓은 공간으로 동적인 시설 배치에 적당
랜드마크
(Landmark)
· 식별성 높은 지형 등의 시설물
· 절벽, 기념탑, 63빌딩, 롯데타워 등
통경성(Vista) 좌우로의 시선이 제한되어 전방의 일정 지점으로 시선이 모이도록 구성된 경관
질감(Texture) 물체 표면의 거칠고 매끄러운 정도의 시각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질감은 주로 지표 상태에 영향을 받음
스카이라인 물체가 하늘을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윤곽선을 가르키는 것

 

2. 기본설계

기본계획의 각 부분을 더욱 구체적으로 발전시켜 각 공간의 정확한 규모, 사용재료, 마감 방법 등 입체적 공간을 창조하는 단계이다.

기본설계 과정: 설계원칙의 추출 → 공간구성 다이어그램 → 입체적 공간의 창조(설계도 작성)

 

① 설계원칙의 추출: 설계의 방향, 요건, 부분별 장소의 현황, 인접시설 관계 등을 고려하여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② 공간구성 다이어그램: 지형조건에 맞도록 공간요소 배치, 상호 관계를 고려한다.

③ 입체적 공간의 창조(설계도 작성): 공간형태를 만들고 등고선상에 정확한 축적(scale)을 사용해서 설계도면을 작성한다.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제도용구

1) 제도판: 고정식 제도판과 이동식 제도판이 있다.

2) T자 및 삼각자: 제도판 위에 제도 용지를 부착하여 제도를 하는데, 이 때 T자나 평행자를 이용하여 평행선을 긋거나 삼각자(30도, 45도, 60도)와 조합하여 수직선과 사선을 긋는 데 사용한다.

3) 삼각축적(스케일): 단명이 삼각형으로 각 변에 1/100에서 1/600까지의 축적 눈금이 새겨져 있으며, 실물의 크기를 도면 내에 축소한 치수로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4) 템플릿: 템플릿은 크기가 다른 원, 사각, 타원 또는 각종 기호 등을 그리기 쉽게 얇은 판(셀룰로이드나 아크릴)에 새겨 놓은 것으로 원형 템플릿은 수목을 표현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운형자 및 자유곡선자: 자유로운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한다.

6) 제도용 연필

ⓐ 제도용 연필은 심의 굳기와 진한 정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는데, H의 수가 클수록 단단하고 흐리며, B의 수가 클수록 무르고 진한다.

ⓑ 일반적으로 HB, B, H, 2H 등이 많이 사용된다.

7) 제도 용지: 흰색의 얇은 연습용 트레이싱지를 주로 활용한다.(기능사 A3, 기사 A2 사이즈)

제도용지크키 A4 A3 A2 A1 A0
용지규격 210×297 297×420 420×594 594×840 840×1,188

 

2. 설계도의 종류

1) 평면도(平面圖)

① 평면도는 물체를 수직으로 내려다 본 것으로 가정하고 작도한 것으로 모든 설계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도면이다.

② 평면도에는 배치도, 식재평면도, 시설물평면도 등이 있다.

 

2) 입면도(立面圖)

① 물체를 정면에서 본 대로 그린 그림으로, 수직적 공간 공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②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출면도 있다.

 

3) 단면도(斷面圖)

구조물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의 모습으로 지하부분 설명 시 사용된다.

 

4) 상세도(詳細圖: Detail)

평면도나 단면도에서 잘 나타나지 않는 세부사항을 시공이 가능하도록 표현한 도면으로, 상세도는 평면도나 단면도에 비해 확대된 축적을 적요(1/10~1/50의 스케일을 사용)하고 재료, 공번ㅂ, 치수 등을 자세히 기입한다.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경관의 구성요소

조경미는 조경부지 내에 모든 조경재료를 배치함에 있어서 시 · 청각적으로 보이는 점, 선, 면, 형태, 질감,

비례, 균형, 중량 등을 효과적으로 잘 활용했을 때 이루어지는 조화로 내용미, 표현미, 형태미를 말한다.

 

1) 선

① 수직선: 강한 느낌, 존엄성, 상승력, 엄숙, 위엄, 권위

② 수평선: 평화, 친근, 안락, 평등, 정숙 등 편안한 느낌 (예: 대지의 고요함)

③ 사설: 속도, 운동, 불안정, 위험, 긴장, 변화, 활동적 느낌

④ 곡선: 부드러움, 우아함, 여성적, 섬세한 느낌 (예: 구릉지, 하천의 곡선)

⑤ 직선: 두 점 사이를 가장 짧게 연결한 선으로 굳건하고, 남성적, 일정한 방향을 제시 (예: 산봉우리)

⑥ 지그 재그선: 유동적이고 활동적, 호기심, 흥분, 여러 방향을 제시

 

2) 질감

① 물체의 표면이 빛을 받았을 때 거칠고 매끄러운 정도를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감각

② 질감의 결정사항

    ⓐ 지표상태: 잔디밭, 농경지, 숲, 호수 등 각각의 독특한 질감을 갖는다.

    ⓑ 관찰거리: 거리에 따라 질감을 고려한다.

    ⓒ 적은 면적일수록 고운 질감을 식재한다.

    ⓓ 잎은 큰 버즘나무는 잎이 작은 철쭉 등에 비해 질감이 거칠게 느껴진다.

 

3) 색채

① 색채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가장 직접적인 요소이며 질감과 함께 경관 분위기 조성에 지배적 역할

② 따뜻한 색(난색): 빨강, 주황, 노랑, 정열적, 온화, 친근함 느낌

③ 차가운 색(한색): 초록, 파랑, 남색, 후퇴, 지적, 냉정함, 상쾌한 느낌

④ 가볍게 느껴지는 색: 명도의 영향을 받아 밝은색일수록 더 가벽게 느껴진다.

     예) 노란색

 

2. 경관구성의 가변요소

1) 광선: 물체에 그림자를 조성하여 형태의 지각을 가능하게 함

2) 기상조건: 안개 낀 기상 또는 비온 뒤 갠 모습에 다라 새로운 경관의 느낌을 줌

3) 계절: 계절적 수목의 변화 - 봄(새싹), 여름(신록), 가을(낙엽), 겨울(설경)

4) 시간: 아침 해가 뜰 때, 낮의 활기, 저녁 노을의 분위기 등 시간에 따라 변화를 줌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일본의 조경양식

※ 일본조경의 특징

① 중국의 영향을 받아 사의주의 자연풍격식 조원 발달

② 자연풍경을 이상화하여 독특한 축경법으로 상징화된 모습을 표현하였다.

     (자연재현 → 추상화 → 축경화로 발달)

③ 기교와 관상적 가치에 치중하여 세부적 수법 발달(실용적, 기능적인 면 무시)

④ 조화에 비중을 둠(중국은 대비)

⑤ 차경수법이 가장 활발하게 발달

⑥ 추상적(고산수식), 인공적인 기교, 관상적인 가치에 가장 치중한 정원

⑦ 지피률 많이 사용

 

※ 일본조경사

1) 헤이안(평안)시대(794~1191)

① 신선사상의 영향으로 지원 내 섬 조성(해안풍경 묘사정원)

② 침전조 정원 양식: 주택건물 앞에 정원을 배치하는 수법이다.

③ 동삼조전: 침전조 양식의 대표적인 정원으로 연못 안에 3개의 섬 및 홍교와 평교 설치

④ 평안시대 후기에 정토사상의 영향으로 회유임천식 정원 양식으로 발전

⑤ 작정기

     · 일본 최초의 조원지침서이며 일본 정원 축조에 관한 가장 오래된 비전서이다.

     · 귤준망(강)의 저서이며, 침전조 건물에 어울리는 조원법 서술

     · 내용: 돌을 세울 때 마음가짐과 세우는 법, 연못의 형태, 섬의 형태, 폭포 만드는 법 등 지형의 취급방법

 

세정코리아 조경관리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한국조경의 특징

1) 공간 처리에 있어서 직성을 기본으로 함. 예) 경복궁

2) 신선사상을 배경. 예) 경회루, 향원정, 백제 궁남지, 통일신라, 안압지

3) 후원(後園)에는 개단상 화계(花階)를 만듦(아미산 화계, 낙선재 화계, 대조전 화계)

4) 공간구성이 단조롭게 구성된

5) 원림 속의 풍류적인 멋을 느낄 수 있음

6) 낙엽활엽수로 식재하여 계절변화 표현

7) 정원의 연못행태와 구성이 단조로운 직선적인 방지를 기본으로 함

※ 예외: 안압지(직선 + 곡선)

 

2. 삼국시대

1) 고구려

안학궁
(427년)
· 장수왕 때 축조,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자연풍경 묘사
· 남쪽에는 자연곡선형의 연못(4개의 섬), 정자터
· 북쪽에는 인공적인 축산의 형태, 연못과 섬은 없음, 정자터
동명왕릉의
진주지
· 태액지원의 영향을 받아 못 안에 봉래, 방장, 영주, 호랑 등 4개의 섬을 축조(신선사상 배경)
· 탄화된 연꽃과 정자의 기와 발견
대성산성 · 무기, 식량비축 등 군사기지의 역할과 유사시 왕궁 역할을 하였다.
· 우리나라 성곽 중 가장 많은 170개의 연못이 있다.
장안성(평양성)
(586년)
· 평원왕 때 외성(민가), 중성(관청), 내성(왕궁), 북성(군대)의 4성으로 축조되었다.

 

2) 백제

임류각
(동성왕 22년, 500)
· 궁원의 후원 구실을 하는 곳
· 희귀한 새와 짐승을 길렀던 연못이 있었다고 함
궁남지
(무왕, 35년, 634)
· 우리나라 최초의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연못
· 궁 남쪽에 못을 파고 20여 리 밖에서 물을 끌어드였으며, 못 가운데 방장선산을 상징하는 섬을 조성
· 못 주위에는 버드나무 식재(정원식재 최초의 기록)
석연지 · 백제 말 의자왕 때 정원용 첨경물
· 화강암질의 돌을 둥근 어항과 같은 생김새로 만들어 그 안에 물을 담아 연꽃을 심었음(지름 약 18cm, 
   높이 1m)
· 궁남지를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함
· 조선시대의 세심석으로 발전함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