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전 · 보건표지의 색채기준 및 용도의 표시방법
① 빨강 : 금지, 경고
② 노랑 : 경고
③ 녹색 : 안내
④ 파랑 : 지시
⑤ 보라색 : 방사능

2. 안전점검의 종류
① 일상점검(수시점검) : 사업장, 가정 등에서 활동을 시작하기 전 또는 종료시에 수시로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② 정기점검 :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각 분야별 유해, 위험요소에 대하여 점검을 하는 것으로 주간점검, 월간점검
     및 연간점검 등으로 구분한다.
③ 특별점검 : 태풍이나 폭우 등 천재지변이 발생한 경우 등 분야별로 특별히 점검을 받아야 되는 경우에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3. 재해조사의 목적
① 동종재해 및 유사재해 재발방지
② 재해에 알맞은 시정책 강구
③ 재해 구성요소를 조사, 분석, 검토하고 그 자료를 활용

4. 재해 발생 형태
① 추락 : 사람이 건축물, 비계, 기계, 사다리, 계단, 경사면, 나무 등에서 떨어진 경우
② 전도 : 사람이 평면상으로 넘어졌을 때를 말함 (과속, 미끄러짐 포함)
③ 충돌 : 사람이 정지물에 부딪힌 경우
④ 낙하, 비래 : 물건이 주체가 되어서 사람이 맞은 경우
⑤ 협착 : 물건에 끼워진 상태나 말려든 상태

 

세정코리아 승강기기능사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도어(door)

1) 승용과 인화용은 한 카에 1개의 도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2) 화물용, 자동차용은 한 가에 2개의 도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3) 2개의 도어가 동시에 열려 통로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2. 기계실의 일반사항

1) 기계실은 엘리베이터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2) 기계실은 필요로 하는 하중 및 힘에 견디도록 시공해야 한다.

3) 출입문은 폭 0.7m 이상, 높이 1.8m 이상의 금속제

 

 

3. 기계실의 구조

1) 기계실의 실온은 5도~ 40도 이하

2) 작업구역에서 유효높이는 2m 이상

3) 바닥면의 조도는 200lx 이상

4) 유효공간으로 접근하는 통로의 폭은 0.5m 이상

5) 기계와 벽과 이격거리가 30cm 이상

6) 출입문은 폭 0.7m 이상, 높이 1.8m 이상의 금속제 문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무료동영상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승강기 운전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

① 질병, 피로 등을 느꼈을 경우 운행 관리자 또는 관리 주체에게 보고 후 운전 중지

② 음주, 흡연하면서 운전하지 말 것

③ 정원 또는 적재 용량 초과 금지

④ 운전 중 고장 사고 발생시 또는 우려가 있는 경우 즉시 운행을 중지하고 보고할 것

⑤ 운전 종료시 정해진 층에 카를 정지시켜 정지스위치를 내리고 출입문을 잠근 후 운행관리자 또는

    관리 주체에 보고할 것

 

2. 재해 조사의 요령

① 재해 발생 직후에 행한다.

② 현장의 물리적 흔적(물적 증거)을 수집한다.

③ 재해현장은 사진을 촬영하여 보관하고 기록한다.

④ 목격자, 현장 책임자 등 많은 사람들에게 사고시의 상황을 듣는다.

⑤ 재해 피해자로부터 재해 직전의 상황을 듣는다.

⑥ 판단하기 어려운 특수재해나 중대재해는 전문가에게 조사를 의뢰한다.

 

 

3. 접지의 목적

① 전기기기의 손상방지

② 인축 감전의 방지

③ 보호계전기의 확실한 동작을 위해

④ Noise방지를 위해

⑤ 기준전위 확보를 위해

⑥ 이상전압의 방전전로

⑦ 화재의 방지를 위해

 

4. 정전기 발생 방지 대책

① 접지

② 습기부여(70% 이상)

③ 대전방지제 사용

④ 보호구 착용

⑤ 제전기 설치

⑥ 배관 내 액체의 유속제한 및 정치시간의 확보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와이어로프의 종류

① 실형 호칭 : 실형 19개선 8꼬임, 구성기호 : 8 X S(19)

② 필러형 호칭 : 필러형 25개선 8꼬임, 구성기호 : 8 X Fi(25)

③ 워링톤형 호칭 : 워링톤형 19개선 8꼬임, 구성기호 : 8 X W(19)

④ 기타 호칭 : 19개선 8꼬임, 구성기호 : 6 X 19


2. 엘리베이터용 주로프 특징

① 반복적인 벤딩에 소선이 끊어지지 않을 것

② 유연성이 클 것

③ 파단강도가 높을 것

④ 강선속의 탄소량을 적게 할 것


3. 가이드레일 크기 결정 요소

① 좌굴하중 :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했을 때

② 수평진동력 : 지진발생시

③ 회전모멘트 : 불균등한 큰 하중이 적재되었을 때


4. 비상정지장치

① FWC형 : 동작 지점에서 급상승했던 정지력이 완만하게 상승, 정지 시점 근처에서 완만해짐

② FGC형 : 동작 지점에서 정지력이 급속이 상승했다가 정지력이 일정해짐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 교류 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방식 및 엘리베이터용 주로프 특징


1. 교류 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방식

① 교류 1단속도제어

②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제어

③ 교류 귀환속도제어


2. 엘리베이터용 주로프 특징

① 반복적인 벤딩에 소선이 끊어지지 않을 것

② 유연성이 클 것

③ 파단강도가 높을 것

④ 강선속의 탄소량을 적게 할 것


3. 가이드레일 크기 결정요소

① 좌굴하중 :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했을 때

② 수평진동력 : 지진발생시

③ 회전모멘트 : 불균등한 큰 하중이 적재되었을 때


4. 승강기 운전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

① 질병, 피로 등을 느꼈을 경우 운행 관리자 또는 관리 주체에게 보고 후 운전 중지

② 음주, 흡연하면서 운전하지 말 것

③ 정원 또는 적재 용량 초과 금지

④ 운전중 고장 사고 발생시 또는 우려가 있는 경우 즉시 운행을 중지하고 보고할 것

⑤ 운전 종료시 정해진 층에 카를 정지시켜 정지스위치를 내리고 출입문을 잠근 후 운행

    관리자 또는 관리 주체에게 보고할 것


5. 안전 · 보건표지의 색채기준 및 용도의 표시 방법

① 빨강 : 금지, 경고

② 노랑 : 경고

③ 녹색 : 안내

④ 파랑 : 지시

⑤ 보라색 : 방사능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 승강기 안전장치 요약정리

 

1. 승강기 안전장치

· 리밋 스위치 : 최상.최하층(과도한 한계를 벗어나 계속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
· 파이널 리밋 스위치 : 리밋 스위치의 미작동 대비 리밋 스위치 위에 설치
· 슬로다운 스위치 : 감속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강제적으로 감속. 리밋스위치 전
· 종단층 강제 감속 장치 : 속도와 위치를 검출하여 종단층에 접근하는 속도가 규정 초과시

  브레이크 자고동. 카 상단, 승강로 내부, 기계실 내부에 설치

· 로크다운 비상정치 장치 : 카의 비상정지 장치 작동시 균형추, 와이어 로프 등이 관성에 의해

  튀어 오르는 것 방지
· 피트 정지 스위치 : 보수 점검시 스위치를 정지 위치로 하여 작업 중 카가 움직이는 것 방지.

  수동조작. 전도기 및 브레이크로부터 전력이 차단 됨

· 과부하 감지 장치 : 카 바닥 하부 혹은 와이어 로프 단말에 설치 정격하중의 105~110%범위

· 역 결상 검출 장치 : 동력전원의 상이 바뀌거나 결상시 전동기의 전원 차단하고 브레이크 작동

· 권동식 로프 이완 스위치 :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검출하여 동력 차단. 오동작시 주회로 차단위한

  스톱모션 스위치 설치

· 각층 강제 정지 운전 : 범죄활동 방지. 각 층에 정지하면서 목적층까지 주행

· 파킹 스위치 : 기준층의 승강장에 키 스위치를 설치하여 승강장에 카를 휴지 또는 재가동

 

2. 예비전원

·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6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으로 발생하여

  2시간 이상 작동

 

3. 승강기 도어 시스템

· 사고의 약 80%를 점유하는 장치

· 숫자는 도어 매수

· SO는 가로 열기, CO는 중앙열기 UP상하열기(업슬라이딩) : 자동차용이나 대형 화물용

· 도어머신 : 공동주택용 카가 저속으로 주행 중 억지로 문을 여는데 필요한 힘은 20이상,

  카가 정지하고 고장시 5~30

· 닫혀있을 경우 20mm(2cm)이상 열려지지 않아야 함(20mm이내까지 닫혀졌을 때 기동)

· 센터 오픈 방식의 경우는 50mm이상 열리지 않아야 함

· 도어 인터로크 : 정지하지 않는 층 열리지 않게하는 도어 로크와 문이 닫혀있지 않으면 운전이 불가능하게

  하는 도어 스위치로 구성

· 도어 클로저 : 승강장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모든 제약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닫히게 함.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 승강기의 종류 요약정리

 

1. 승강기의 종류

 · 동력매체(구동)에 따른 분류
   로프식, 플런저식(유압), 스크류식, 랙․피니언식
 · 속도에 따른 분류
   ① 저속 -  45m/min이하 - 아파트, 소형빌딩
   ② 중속 - 60이상 105이하 - 병원, 중형빌딩
   ③ 고속 - 120이상 - 대형빌딩, 백화점
   ④ 초고속 - 300이상
 · 피 운반물의 종류 또는 형태 따른 분류
   승객용, 화물용, 승용․화물용

 

2.주차승강기

 · 2단실 주차 장치 : 상하 좌우 이동 가능
 · 다단식 주차 장치
 · 수직 순환식 주차 장치 : 층간 이동 안됨
 · 수평 순환식 주자 장치 : 주차구획 전체를 1개 라인의 체인으로 동시에 승강
 · 다층 순환식 주차 장치 ; 1열 2층 또는 그이상 배역하여 임의의 두 층간의 양단에서 운반기를

   승강 이동하여 순환
 · 승강기식 주차 장치 : 여러 층으로 배치되어 있는 고정된 주차 구획(각층 2대)에 운반기에 의해 상하 이동
 ·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 장치 : 대지 넓은 곳 해당 층 종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차
 · 평면 왕복식 주차 장치 : 각 층 평면으로 배치되어 있는 고정 주차 구획에 운반기에 의해(승강기식을

   옆으로 한 형태)

 

3. 전동 덤웨이터

 · 리프트
 · 카의 바닥면적이 1㎡이하
 · 천장 통이가 1.2m이하
 · 적재용량 1턴 미만의 소화물운반
 · 경미한 부분을 제외하고 불연재료로
 · 기계실의 천정 높이는 1m이상
 · 서적, 음식물 등 소형화물의 운반

 

4. 측정기

 · 각도측정기 - 사인바, 분도기, 만능각도기
 · 버니어캘리퍼스 - 길이측정, 원형의 지름, 원통의 안지름

 

                           

 

 · 헤이트게이지 - 공작물의 높이 측정, 높이게이지
 · 마이크로미터 - 외경, 안지름, 깊이 등 정밀성을 요하는 측정(나사를 이용)
 · 다이얼게이지 - 움직임을 지침의 회전 변위로 변환시켜 눈금을 읽을 수 있는 길이

   측정기(기어이용). 일감의 평행도, 원통의 진원도, 회전체의 흔들림 정도
 · 스트로보스코프 - 측정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측정이 가능한 계측기
 · 와이어 게이지

 

                              


 · 옵티미터 : 광학 확대 장치 이용

 

승강기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