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초제도

① 도면 왼쪽의 여백은 철할 때 4면 중 왼쪽 만은 25mm, 나머지는 10mm 정도의 여백을 준다.

② 표제란에는 공사명, 도면명, 범례, 축척, 설계자명, 도면 번호, 설계 일시 등을 기입한다.

③ 치수표시

    ⓐ 치수의 단위는 mm를 원칙으로 하며 단위는 표시하지 않는다.

    ⓑ 치수선, 치수보조선은 가는 실선으로 제도한다.

    ⓒ 치수는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 나간다.

    ⓓ 치수선은 치수보조선에 수직(직각)이 되도록 기재한다.

    ⓔ 치수기입은 중간에 하고 수평일 경우 상단에, 수직일 경우 왼쪽에 기재한다.

    ⓕ 치수보조선은 치수 공간이 부족할 경우 한 쪽의 기호를 넘어서 연장하는 치수선의 위쪽에 기입할 수 있다.



                                                                   



2. 설계도의 종류

평면도

 물체를 수직으로 내려다본 것으로 가정하고 작도한 것

입면도

 물체를 정면에서 본대로 그린 그림으로, 수직적 공간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단면도

 구조물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의 모습으로 지하부분 설명 시 사용된다.

조감도

 새가 하늘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시각으로 그린 그림(3소점)

투시도

 평면도, 단면도 등 설계안대로 실제 완성된 모습을 가상하여 그린 것


3. 배식설계

① 정형식 배식 : 단식, 대식, 열식, 교호식재, 군식(정형식)

② 자연식 배식 : 부등변 상각형 식재, 임의식재, 군식(자연식), 배경식재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