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조경의 특징

1) 공간 처리에 있어서 직선을 기본으로 함

   (예) 경복궁

2) 신선사상을 배경

   (예) 경회루, 향원정, 백제 궁남지, 통일신라, 안압지

3) 후원(後園)에는 계단상 화계(花階)를 만듦(아미산화계, 낙선재확), 대조전화계)

4) 공간구성이 단조롭게 구성됨

5) 원림 속의 풍류적인 멋을 느낄 수 있음

6) 낙엽활엽수로 식재하여 계정변화 표현

7) 정원의 연못행태와 구성이 단조로은 직선적인 방지를 기본으로 함

※ 예외: 안압지(직선 + 곡선)

 

 

2. 삼국시대

1) 고구려

안학궁
(427년)
· 장수왕 때 축조,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자연풍경 묘사
· 남쪽에는 자연곡선형의 연못(4개의 섬), 정자터
· 북쪽에는 인공적인 축산의 형태, 연못과 섬은 없음, 정자터
동명왕릉의
진주지
· 태액지원의 영향을 받앙 못 안에 봉래, 방장, 영주, 호랑 등 4개의 섬을 축조(신선사상 배경)
· 탄화된 연꽃과 정자의 기와 발견
대성산성 · 무기, 식량비축 등 군사기지의 역할과 유사시 왕궁 역할을 하였다.
· 우리나라 성곽 중 가장 많은 170개의 연못이 있다.
장안성(평양성)
(586년)
· 평원왕 때 외성(민가), 중성(관청), 내성(왕궁), 북성(군대)의 4성으로 축조되었다.

2) 백제

임류각
(동성왕 22년, 500)
· 궁원의 후원 구실을 하는 곳
· 희귀한 새와 짐승을 길렀던 연못이 있었다고 함
궁남지
(무왕 35년, 634)
· 우리나라 최초의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연못
· 궁 남쪽에 못을 파고 20여 리 밖에서 물을 끌어들였으며, 못 가운데 방장선산을 상징하는 섬을 조성
· 못 주위에는 버드나무 식재(정원식재 최초의 기록)
석연지 · 백제 말 의자왕 때 정원용 첨경물
· 화강암질의 돌을 둥근 어항과 같은 생김새로 만들어 그 안에 물을 담아 연꼿을 심었음
  (지름 약 18cm, 높이 1m)
· 궁남지를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함
· 조선시대의 세심석으로 발전함

※ 일본에 건축, 토목기술이 전해진 시대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무료동영상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