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1) 수출업자가 매매계약 이행 사실을 기재해 수입업자에게 발송하는 문서

2) 무역거래상의 필수서류로 모든 신용장에서 요구하고 있으나 유가증권인 선하증권이나 

    보험증권과 같이 그 자체가 청구권이 있는 서류는 아님

 

2. 상업송장의 기능

1) 송장은 모든 무역거래의 필수서류

2) 무역결제는 대부분이 환어음으로 이루어짐 → 수출지 은행에서 환어음을 매입할 때 수입지 은행에서

    대도(T/R)로 수입물품을 수입업자에게 인도할 때 화환어음의 담보물권이 되는 서류들 중에 이들

    담보물의 명세서 및 계산서의 역할을 하는 송장이 포함되어야 함

3) 송장은 수입지에서 화물수취 안내서와 수입물품의 진실성 및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한

    세관신고의 증명자료가 됨 → 모든 송장은 과세 표준액 산정에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수입통관 시 수입업자에게 불이익이 초래되지 않도록 정확한 작성 필요

 

 

3. 포장명세서(Packing list)의 개념

1) 계약물품의 선적이나 기적을 증명하기 위한 운송서류 중에서 선하증권이나 상업송장과 같이 꼭 필요한

    필수적 서류는 아니지만 원산지증명서 등과 함께 중요한 부속서류에 속하는 것이 포장명세서 이다.

2) 포장명세서에는 선적화물의 포장 및 포장 단위별 명세와 단위별 순중량, 총중량, 그리고 화인 및 포장의

    일련번호 등을 기재함으로써 포장과 운송, 통관상의 편의를 위하여 수출업자(매도인)가 수입업자(매수인)

    앞으로 작성하는 계약관련 서류 중의 하나이다.

 

4. 포장명세서의 기능

1) 수출입 통관절차 심사자료로써 활용, 양륙지에서 화물의 분류 및 판매 시 이용

2) 검수 또는 검량업자가 실제화물과 대조하는 참고자료로써 이용

3) 개별 화물의 사고 발생분에 대한 확인자료로써 사용

4) 중량 외에 각각의 용량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선박회사가 운송계약을 체결할 때 일차적인 기준자료로써 활용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수출절차란?

매매당사자 사이에 무역계약을 체결하고 수출상이 신용장등을 수취하여 무역관계법규의 내용에

따라 수출승인단계에서부터 수출물품 제조 · 가공하여 수출검사 및 통관수속을 마치고 운송인에게

인도 또는 운송수단에 적재한 후 수출환어음 매입 및 대금회수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절차

 

 

2. 수출절차의 단계

1) 해외시장조사 : 수출상이 해외시장을 개척하는데 있어 제일 먼저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수출하고자

                       하는 물품의 판매가능성과 정보 등을 조사

2) 거래선발굴 : 거래처를 물색하는데 각국의 상공인명부나 인터넷, 해외광고, 현지에 직접출장 또는 박람회,

                    전시회 등 각종행사를 이용

3) 신용조회 : 거래선에 대한 신용상태(당해 업체의 성격, 자본, 영업능력)에 대하여 조회하여 상거래에 따른

                 위험을 예방하는 절차

4) 거래제의와 권유 : 권유장을 통하여 거래제의

5) 조외 및 조회에 대한 회신 : 물품에 대한 관심이나 구매의사가 있을 때 거래조건에 대하여 문의를 하는데

                                       이를 조회라 하고 신속하게 회신하여야 함

6) 청약과 승낙 : 청약이란 상대방의 승낙과 일정조건의 매매계약 성립을 기대하여 행하는 의사표시, 승낙이란

                     피청약자가 청약자에게 계약을 성립시킬 목적으로 행하는 확정적인 의사표시임. 무역계약은

                     기본적으로 낙성 · 불요식계약이므로 청약에 의해 승낙이 있으면 계약이 성립

7) 수출계약의 체결 : 후일의 분쟁을 대비하여 매매계약서를 반드시 작성

 

<뒷 장에 계속>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무역마케팅의 개요

(1) 의미

무역마케팅은 해외시장 조사를 통하여 아이템을 발굴하거나 특정품목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 바이어를

찾아내어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상품을 확보하여 선적한 후 대금을 회수하는 일련의 절차

 

(2) 마케팅의 중요 요소

마케팅의 요소는 대략 상품력, 영업령, 관리력, 정보력의 4가지 항목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 4가지 요소가

잘 조합되고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강한 추진력을 발휘할 때 경쟁에서 우월적 지위를 유지 할 수 있음

 

(3) 마케팅 담당자의 3가지 요소

· Passion (열정)

· Consideration (상대방에 대한 배려)

· Differentiation (차별화)

 

 

2. 해외시장조사와 거래처 발굴

(1) 해외시장조사의 구체적인 내용

· 제품조사

· 유통경로조사

· 가격

· 촉진 조사

 

(2) 해외시장 조사 방법

해외시장을 조사하는 방법에는 크게 오프라인(Off-line)에 의한 방식과

온라인(On-line)에 의한 방식이 있음

 

<뒷 장에 계속>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품질조건
· 품질결정기준 : 견본, 명세서, 브랜드, 표준품
· 품질결정시기 : 선적품질조건과 양륙품질조건
· 주의점 : 1차산품의 경우, 운송도중 변질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양륙품질조건으로의 매매는 적절하지 않음
· 견본매매의 경우, 마켓클레임에 대비하여 keep sample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함

 

 

2. 수량조건
· 중량톤 : English Ton, American Ton, Kilo Ton으로 나눠지므로,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계약서상 명확히 표기
· Bulk cargo(산화물) : 과부족에 대한 약정 필요
  - 신용장베이스 : 5%의 과부족 항상 허용, 수량 앞에 ‘about’ 표기된 경우 10% 과부족허용
  - 계약서베이스 : 과부족문구를 반드시 기재해야 과부족 허용

 

 

3. 선적조건
· promptly, ASAP, immediately 등을 사용하여 선적기간 표기하는 것은 위험
· 신용장의 유효기간과 선적기간과의 관계 : 신용장에 선적기간이 없는 경우,신용장의 유효기간까지 선적해야 함
· 특정 할부분 미 선적 시, 당해 할부분을 포함 이후의 할부분으로 계약 파기함
· 선적일의 증명 : 선화증권상의 일자로 증명
· 선적선화증권상에 본선적재부기가 있다면, 본선적재부기상의 일자를 선적일로 봄

 

 

4. 결제조건
· 선지급방식 : CWO, T/T, Red clause L/C
· 후지급방식 : Usance L/C, D/A, O.A
· 동시지급방식 : At sight L/C, D/P, COD, CAD

 

 

5. 보험조건
· 인코텀즈와 보험계약체결자
  - EXW, FCA, FAS, CFR, CPT : 수입업자
  - CIF, CIP, DAT, DAP, DDP : 수출업자
· 보험조건
  - 구증권 : ICC(F.P.A.), ICC(W.A.), ICC(A/R)
  - 신증권 : ICC(C), ICC(B), ICC(C)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수출절차의 개요

① 무역계약의 체결

② 신용장 수취

③ 수출의 승인

④ 수출환어음 매입 및 대금회수

⑤ 운송인에게 인도 도는 운송수단에 적재

⑥ 수출검사 및 통관수속


2. 수출절차의 단계

① 해외시장의 조사

    · 수출상이 제일 먼저 고려하여야 할 사항

    · 수출하는 물품의 판매가능성과 정보 등을 조사

② 거래선 발굴

    · 거래처 물색 방법: 각국의 상공인명부나 인터넷, 현지에 직접출장, 박람회, 전시회 등을 이용

    · 대한상공회의소, 재외공관, 은행 등을 이용

③ 신용조회

    · 신용상태를 조회하여 상거래에 따른 위험을 예방하는 절차

④ 거래제의와 권유

    · 권유장을 통하여 거래제의

⑤ 조회 및 조회에 대한 회신

⑥ 청약과 승낙

    · 무역계약의 기본적으로 낙성 · 불요식계약이므로 청약에 의해 승낙이 있으면 계약성립

⑦ 수출계약의 체결

    · 후일 분쟁을 대비하여 매매계약을 반드시 작성

⑧ 신용장 수령

    · 수입상은 계약의 결제조건에 따라 신용장을 발행하여 통지은행을 통해 통지

⑨ 수출승인

⑩ 수출물품의 확보

⑪ 무역금융의 이용

⑫ 물품운송계약 및 적하보험부보

⑬ 수출통관 및 선적

⑭ 대금회수 및 매매계약의 종료

⑮ 관세환급 및 사후관리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 무역계약을 위한 검토사항


1. 무역계약을 위한 검토사항

① 내부준비 : 계약목표, 중요 거래조건 등 사전검토

② 계약서 문구 : 정확, 명료, 간결, 능동형

③ 계약 내용 특징, 논리적 일관성, 용어의 통일적 사용

④ 계약의 기본적인 사항 빠짐없이 꼼꼼히 기재

⑤ 가능하면 계약서 초안을 먼저 제시

⑥ 매도인, 매수인 입장에서 권리와 의무 부분 점검

⑦ 기준 : 국제규범

   · INCORTERMS 2010

   · 비엔나협약(CISG)

   · ICP 600


2. 수출입 매매계약서 명시 내용

① 계약기간과 계약의 종료

   · 개시 : 서명일, 계약서에 기재된 일자

   · 종료 : 기간만료, 해제에 의한 계약종료, 사정변경에 의한 종료

   · 계약갱신 : 합의에 의한 갱신, 자동갱신

② 불가항력

   · 계약불이행 책임 면제 (통지, 손해 최소화 조치)

   · 천재지변, 내란, 파업, 정부의 통관 불허 등에 관해 상세히 규정

③ 클레임 제기기한, 방법

   · 제기기한 : 계약에서 정한 기간 우선 적용

     CISG(실행 가능한 짧은 기간), 한국 상법(6개월), 미국(합리적인 기간)

④ 준거법 : 계약의 해석기준에 관한 법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 대금지급조건의 의의


1. 대금지급조건(Terms of Payment)

  · 거래대상물품의 대금지급과 관련된 사항을 약정하는 조건

  · 매도인은 수출물품의 인도 전에 물품대금을 가능한 한 일찍 영수하고자 하는 경향

  · 매수인은 수입물품을 인수한 후에 대금을 지급하고자 하는 경향 

  · 양자는 대금지급과 관련된 사항을 합의해야 함


2. 대금지급조건의 시기

① 선지급 (Advance Payment)

  · 물품이 인도되기 전에 미리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

  · 매도인에게는 유리한 조건이지만, 매수인에게는 불리한 지급조건 

  · 소량의 매매, 견본의 매매, 매수인의 신용이 빈약한 경우, 특별주문 시 등에 사용

② 동시지급 (Concurrent Payment)

  · 물품의 인도 또는 물품을 화체한 운송서류의 인도와 동시에 대금지급이 이루어지는 방법

③ 후지급 (Deferred Payment)

  · 물품이 인도되거나 선적서류가 인도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여 지급이 이루어지는 대금결제방법

  · 지급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매수인에게는 유리하지만, 매도인에게는 불리

  · 매수인의 신용이 매우 높은 경우, 또는 본지점 간의 위탁판매 등에 주로 이용


3. 대금지급방법 (지급수단)

어떤 지급수단을 사용하여 물품대금을 지급하느냐에 따른 구분방법 현금이나 물품, 환어음, 송금환 등의

지급수단을 사용

① 현금결제 : CWO, COD, CAD
② 물품결제 : 물물교환(barter trade)
③ 환어음결제 : 추심결제방식(D/P. D/A), 신용장방식
④ 송금환결제 : 송금방식(T/T, M/T, D/D)
⑤ 특수결제 : 팩토링(factoring), 포페이팅(forfaiting) 등
⑥ 국제전자결제 : 전자수표, 전자자금이체, 무역카드, 전자신용장 등


무역실무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온라인 해외직판 전문가과정 무료 동영상 강의 - 글로벌셀러 구매대행 정식수출과 전자상거래 수출

 

1. 정식 수출과 전자상거래 수출

① 수출계약 (해외 구매자에게 판매) ·········· (온라인 쇼핑몰)

② 수출신고 (세관) ········································· (업체 / 관세사) 직접신고, 신고대행

③ 세관의 심사 및 신고수리 ·························· (세관) 수리 후 30일 이내 적재 의무

④ 수출물품 배송 ············································· (물류업체) 수출이행

⑤ 관세환급

 

2. 정식 수출신고 시 혜택

① 무역금융 지원

② 관세환급 & 차질 없는 부가세 영세율

③ 반품 시 재수입 면세 적용 가능

④ EMS 배송 시 1% 추가 요금 할인

⑤ 외환거래 등에 대한 정확한 입증

 

3. 전자상거래 프로세스

① 인터넷 접속

② 상품 검색

③ 상품 선택

④ 결제

    · 전자상거래 거래액의 상징과 함께 결제 시장 성장

    · 결제 수수료의 매출원으로 확보하기 위한 업체별 경쟁 심화

⑤ 물류(배송)

    · 배송 시간 단축 및 물류 유실 방지에 대한 시장 요구 확산

    · 물류 효율성, 물류 안정성에 대한 관심 증대

⑥ 고객서비스

 

[교육내용]
· 온라인 해외직판의 프로세스
· 외국의 통관제도 및 B2C마케팅
· 맞춤형 B2C
· 검색엔진 키워드 광고 및 검색엔진 최적화
· KMall24
· tradeKorea / tradeNAVI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1) - Alibaba.com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2) - EC21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3) - 이베이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4) - Amazon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5) - 큐텐
· 각종 성공사례 소개
· 현지 독립몰식 해외직판 기법
· 운영노하우 및 마케팅 기법
· 두블리(Dubli)시스템 교육
· 글로벌셀러 구매대행 실무교육

 

온라인 해외직판 전문가과정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온라인 해외직판 전문가과정 무료 동영상 강의 - 한국의 온라인 B2C 판매유형

 

1. 한국의 전자상거래 무역현황

1) 해외직구

  · 1,553만 건, 15.4억 달러

  ·  미국, 중국, 독일, 홍콩, 일본 

  ·  건강상품, 가전제품, 패션, 주방용품

 

2) 해외직판

  · 11만건, 3,682만 달러

  · 중국, 일본, 미국, 동남아

  · 화장품, 패션, 식음료, 유아용품

 

2. 한국의 온라인 B2C 판매유형

1) 지원사업 활용

  · 한국무역협회 : 온라인 해외판매 전문쇼핑몰 (Kmall24)

  · 중소기업진흥공단 : B2C 판매대행 지원사업

    (아마존, 이베이, 타오바오, 라쿠텐, 큐텐)

 

2) 해외 오픈마켓 판매

  · 국내 : G마켓(영문, 중문), 11번가(영문)

  · 해외 : 아마존, 이베이, 타오바오, 티몰, 라쿠텐, 큐텐, 라자다

 

3) 자체 쇼핑몰 운영

  · 마젠토, 워드프레스 등 자체 개발

  · Shopify, Bigcommerce 등 e-Commerce 솔루션

 

[온라인 해외직판 전문가과정 교육내용]
· 온라인 해외직판의 프로세스
· 외국의 통관제도 및 B2C마케팅
· 맞춤형 B2C
· 검색엔진 키워드 광고 및 검색엔진 최적화
· KMall24
· tradeKorea / tradeNAVI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1) - 알리바바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2) - EC21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3) - 이베이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4) - 아마존
· 온라인 해외직판 활용하기 (5) - 큐텐
· 각종 성공사례 소개
· 현지 독립몰식 해외직판 기법
· 운영노하우 및 마케팅 기법
· 두블리(Dubli)시스템 교육
· 글로벌셀러 구매대행 실무교육

 

온라인 해외직판 전문가과정 (www.sjcorea.co.kr)

 

 

 

무역실무 무료 인터넷 강의 - FTA란 무엇인가?

 

1. FTA란 무엇인가?

 · FTA는 양자간 무역협정이다.

 · 상품 및 서비스 교역에 있어 특정국가간에 관세와 기타 무역장벽을 제거하여 자유무역을 실현하는 협정

 · 양국간 또는 지역간의 제반 무역장벽을 완화하여 무역자유화를 실현하기 위한 지역경제통합의 초보적

   단계로 지역무역협정의 한 종류

 

2. 관세동맹 및 자유무역지역 창설 허용 요건

 · 역내국간은 역내산 상품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모든 교역에서 관세 및 기타 제한적 무역조치들이

   제거되어야 한다.

 · 역외국에 대하여는 지역무역협정 체결이전보다 관세 및 기타 상업적 제한들이 더 높거나

   더 규제적이어서는 안된다.

 · 자유무역협정을 형성하는 전 단계인 잠정협정은 자유무역협정으로의 이행을 위해 필요한

   합리적인 이행기간 내에 이행하여야 한다.

 

3. FTA의 체결형태

① CEPA

 · 포괄적 경제동반자관계,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의 약어

 · CEPA는 상품의 관세인하, 비관세장벽 제거 등 요소를 포함하면서 무역원활화 및 여타 협력

   분야 등에 중점을 두고 있는 협정

 · 예) 한 · 인도 CEPA, 일본 · ASEAN CEPA, 인도 · ASEAN CEPA

 

② EPA

 · 경제연계협정,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의 약어

 · EPA는 상품의 관세인하, 비관세장벽 제거 등 요소를 포함하면서 무역원활화 및 여타

   협력분야 등에 중점을 두고 있는 협정

 · 예) 일본 · 멕시코 EPA, 일본 · 싱가폴 EPA

 

③ SECA

 · 전략적 경제보완협정, Stategic Economic Complementation Agreement 약어

 · 라틴아메리카 국가간 경제통합을 목적으로 '80년도에 체결된 몬테비데오 조약에 근거한

   지역협정인 ECA를 모델로 한 것

 · 예) 한 · 멕시코 SECA 

 · SECA에 포함될 구성요소 및 자유화 수준은 협상초기에 체결 당사자국간 합의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결정

 · 모든 상품을 자유화대상으로 추구하는 FTA와 달리 자유화대상이 되는 상품의 범위를

   협상을 통해 결정하게 되나, 협상 내용에 따라 FTA와 유사한 결과 도출이 가능

 

무역실무 무료 인터넷 강의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