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1급 요약정리 - 개별성의 원리, 의도적인 감정표현

 

1. 개별성의 원리

1) 의의: 개별화라는 것은 클라이언트 개개인의 독특한 자질을 알고 이해하는 일이며, 보다 나은 적응을 할 수 있도록 각 개인을 도와줌에 있어서 상이한 원리나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2) 워커의 역할
  (1) 편견이나 선입관으로부터 해방, 탈피
  (2)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
  (3) 귀담아 듣고 관찰할 수 있는 능력
  (4) 클라이언트의 보조에 따르는 능력
  (5) 사람들의 감정 속에 들어가는 능력(직시할수 있는 능력)
  (6) 전망을 유지하는 능력

 

3) 개별화를 위한 수단(방법)
  (1) 세심한 배려 : 면접시간, 장소 등에 대한 세심한 배려
  (2) 면접에서의 비밀보장 : 비밀보장에 대한 신뢰감, 공간 등 신경
  (3) 면접시간의 준수
  (4) 면접을 위한 사전준비 : 내일 면접에 대한 준비, 미리 관심을 두고 파악
  (5) 클라이언트의 참여 : 조사, 사정할 때 클라이언트의 참여유도
  (6) 융통성발휘

 

2. 의도적인 감정표현

1) 의의: 의도적인 감정표현(Purposeful expression of feelings)은 클라이언트가 그의 감정을 특히 그의 부정적 감정을 자유로이 표명하려는 그의 욕구에 대한 인식이다.

 

2) 의도적인 감정표현의 목적성 Why?
  (1) 압력, 긴장으로 부터의 해방 : 자기 문제를 명백하고 객관적으로 인식
  (2) 클라이언트와 인간자체를 더욱 적절히 이해
  (3) 인간의 감정을 경청하는 것은 심리사회적 지지의 한 형태
  (4) 클라이언트의 부정적인 감정표현 자체가 진정한 문제일수 있다.
  (5) Casework의 관계를 심화시켜준다.

 

3) 워커의 역할(292)
  (1) 워커자신의 여유 있는 태도 : 물리적 환경 조성
  (2) 시간적 정신적 여유 : 사전에 면접 준비, 1.2일전에 준비하고 여유를 가진다.
  (3) 주의 깊게 목적적으로 경청할 수 있는 능력
  (4) 클라이언트롤 하여금 그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
  (5) 클라이언트의 움직이는 속도에 민감하게 인식 : 클라이언트의 보조에 맞춰준다.
  (6) 비현실적 보장, 너무 빠른 초기의 해석, 지나치게 많은 해석 등은 클라이언트의 감정표현을

       가로막을수 있다.

 

사회복지사1급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