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통산업의 환경

1) 거시환경 : 경제적 환경, 인구통계학적 환경, 사회문화적 환경, 기술적 환경, 정치/법률적 환경

2) 유통산업시책의 기본방향

- 유동구조의 선진화 및 유통기능의 효율화 촉진

- 유통산업에서의 소비자 편익의 증진

- 지역별 균형발전, 종류별 균형발전

- 중소유통기업의 구조개선 및 경쟁력 강화

- 유통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 건전한 상거래질서의 확립 및 공정한 경쟁여건의 조성


2. 수요와 공급

1) 수요탄력성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체재의 유무와 다소, 상품정의의 폭, 상품의 가격이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상품의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중요성, 가격변화기간

2) 공급의 가격탄력성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생산량 증가에 따른 생산비용이 증가 정도가 가격증가로 인한 이익증가분보다 클수록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낮아진다.

- 생산된 재화의 저장 가능성이 클수록, 저장비용이 저렴할수록, 그리고 저장시간이 길수록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커진다.





3. 상품생산, 소비 및 교환

1) 상품: 희소성, 경제성, 경합성과 배제성, 유/무형에 의해 구분된다.


4. 유통비용과 이윤

1) 개념: 유통과정 중의 매매, 운송, 보관 등의 활동에 부대되어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하며, 원자재의 조달 및 제품의 생산,

    판매활동이나 최종 소비자에 이르는 물적 유통활동을 위해 소비되는 자원을 화폐가치로 계량한 것이다.

2) 분류: 상적, 물적, 금융적, 정보, 종합(직접비용, 간접비용), 상품별

3) 유통경로의 이윤: 유통비용분석, 전략적 이익모형, 제품별 직접이익





5. 시장구조

1) 개념: 수요와 공급이 만나 정보가 교환되고 가격이 결정되면, 그것을 기초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추상적인 기구를 의미한다.

2) 형태: 독점시장, 과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


유통관리사2급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