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총거래수 최소의 원칙
① 유통경로에서 중간상이 없다면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하여야 하므로 거래수가 많아지지만 중간상이 개입하면 거래수가 감소하므로 거래비용도 감소한다.
② 예컨대 세 명의 생산자와 네 명의 소비자가 있는 경우 중간상이 없다면 총거래수는 3×4=12가 되지만 중간상이 개입하면 총거래수는 3+4=7이 된다.
2. 분업의 원칙
① 제조와 유통업무를 분담하여 생산자와 중간상이 각자의 업무만을 수행하면 경험효과에 따른 숙련도 및 노하우의 증진으로 일의 전문화(specialization)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을 분업의 원칙이라고 한다.
② 유통경로상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에도 분업의 원리가 적용된다. 즉, 협상, 주문, 촉진, 금융, 정보수집 등의 기능을 중간상들이 분담하여 수행하면 유통기능의 효율성이 높아져 전체 유통비용은 감소하고 상품의 가격도 낮아지게 된다.
3. 변동비 우위의 원칙
① 대부분의 제조업의 경우에는 고정비(fixed cost)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시설규모가 커지고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단위당 고정비가 하락하여 단위당 비용이 하락하는 규모의 경제(economies to scale)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② 그러나 유통업은 제조업에 비해 변동비(variable cost)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생산자가 제조와 유통을 통합하여 생산된 제품을 직접 판매하는 경우 규모의 경제효과가 오히려 적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 제조와 유통을 분리하여 기능을 분담하는 것이 비용측면에서 효율적이다.
4. 집중준비의 원칙(집중저장의 원칙)
① 집중저장의 원칙은 중간상이 존재함으로써 사회전체가 원활한 소비를 위해 저장(storage)해야 할 제품의 총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소매상이 필요로 하는 많은 품목을 도매상이 대량으로 저장함으로써 소매상이 저장해야 할 양을 줄여준다.
② 따라서 집중저장의 원칙은 도매상의 존재이유를 설명하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원칙에 따를 때 만약 도매상이 없으면 소매상은 더 많은 양의 제품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회전체로는 저장량이 증대되어 유통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세정코리아 유통관리사2급 무료 동영상 강의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유통관리사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관리사2급 무료 동영상 강의 - 중간상의 역할과 중요성 (0) | 2024.09.22 |
---|---|
유통관리사2급 무료 동영상 강의 - 완전경쟁시장의 성립조건 (0) | 2024.02.09 |
유통관리사2급 동영상 강의 - 완전경쟁시장의 성립조건,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0) | 2023.05.01 |
유통관리사2급 동영상 강의 - 유통의 의의, 유통의 역할, 유통산업과 유통경로 (0) | 2023.03.29 |
세정코리아 유통관리사2급 동영상 강의 - POS 시스템의 특징 및 구성기기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