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공간은 단순히 잠을 자는 곳이 아닌,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쾌적하고 편리하며, 가족 구성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주거 공간을 만들기 위한 기본 원칙과 고려 사항들을 함께 살펴볼까요?
1. 주거계획의 기본방향
먼저 주거 계획의 기본 방향입니다
1) 생활의 쾌적함 추구: 당연히 주거 공간은 쾌적해야겠죠? 쾌적한 환경은 심리적 안정과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가족 본위의 주거공간: 주거 공간은 가족 구성원 모두가 함께 생활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의 라이프 스타일과 요구를 반영해야 합니다.
3) 개인의 프라이버시 존중: 가족 구성원 간에도 개인의 사생활은 존중되어야 합니다. 개인 공간을 확보하고, 서로의 프라이버시를 배려하는 설계가 중요합니다.
4) 생활의 편리함 추구: 동선 계획, 작업 공간 배치 등 효율적인 공간 구성은 생활의 편리성을 높여줍니다.
2. 실내계획 고려사항
실내 계획을 할 때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크게 기후, 위치, 방위, 디자인 스타일을 꼽을 수 있습니다.
1) 기후: 기온, 강수량, 일사량, 풍향 등 기후 요소는 주택의 형태, 평면 구성, 개구부 위치 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겨울철 추위가 심한 지역에서는 단열에 신경 쓰고, 여름철 더위가 심한 지역에서는 통풍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위치: 주택의 위치에 따라 주거 형태와 생활 방식이 달라집니다. 도시 주택, 전원 주택, 별장 주택은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지므로, 위치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3) 방위: 방위는 실 배치와 개구부 위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방위에 따라 채광, 통풍, 전망 등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남향은 일조량이 풍부하여 거실이나 침실에 적합하고, 북향은 직사광선이 적어 서재나 작업실에 적합합니다. 또한, 개구부 설치 시 커튼이나 차양 등을 활용하여 햇빛과 프라이버시를 조절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4) 디자인 스타일: 디자인 스타일은 거주자의 기호와 생활 양식을 반영합니다. 어떤 지역이나 특정 사회에서 유행하는 스타일을 참고할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거주자의 개성을 살리는 것입니다.
3. 각 실의 방위
그럼 각 실의 방위에 따른 일반적인 배치 원칙을 살펴보겠습니다.
1) 동쪽: 아침 햇살이 잘 들어오는 동쪽은 침실이나 식당에 적합합니다. 아침 햇살은 기분 좋은 하루를 시작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서쪽: 서쪽은 오후 햇살이 강하게 들어오는 방향입니다. 따라서 욕실, 건조실, 탈의실 등 햇빛으로 인한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남쪽: 일조량이 가장 풍부한 남쪽은 노인실, 아동실, 거실 등 가족 구성원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뜻하고 밝은 환경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활동성을 높여줍니다.
4) 북쪽: 직사광선이 적은 북쪽은 화장실, 보일러실 등 햇빛이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이는 일반적인 원칙이며, 실제 계획에서는 주변 환경, 건물의 형태, 거주자의 생활 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방위 배치를 결정해야 합니다.
4. 공간의 구성
주거 공간은 크게 개인 공간, 작업 공간, 사회적 공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개인 공간: 개인의 사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침실, 공부방, 작업실, 욕실, 서재 등이 있습니다. 개인의 기호와 취미, 개성 등을 반영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공간으로 조성해야 합니다.
2) 작업 공간: 가사 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부엌, 세탁실, 작업실, 창고, 다용도실, 서비스 야드 등이 있습니다. 효율적인 동선 계획과 편리한 수납 공간 확보가 중요합니다.
3) 사회적 공간: 가족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거실, 응접실, 식당, 현관 등이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시간을 보내고 소통하는 공간이므로, 편안하고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합니다.
이 세 가지 공간의 조화로운 구성은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 환경을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5. 거실
마지막으로 거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거실은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중심 공간이자, 손님을 맞이하는 대표적인 공간입니다. 따라서 위치 선정과 공간 구성에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1) 방향: 일조와 전망이 가장 좋은 남향 또는 남동향, 남서향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접근성: 현관, 복도, 계단 등과 근접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동시에 독립성과 안정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3) 개방감: 창을 통해 옥외의 전망이 보이는 곳이 적당하며, 창을 최대한 넓혀 시각적 개방감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테라스 연결: 거실과 연결되는 테라스는 거실 공간의 연장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거실과 테라스 사이에 10~12cm 정도의 바닥 차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건축기사 무료 동영상 강의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실내건축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건축기사 무료 동영상 강의 - 창문의 기능, 이동창의 특징 (0) | 2024.11.03 |
---|---|
실내건축기사 무료 동영상 강의 - 주거공간 실내 설계의 핵심 개념과 고려사항 (0) | 2024.09.13 |
실내건축기사 무료 동영상 강의 - 디자인 원리(스케일, 균형의 원리) (0) | 2024.07.14 |
실내건축기사 무료 동영상 강의 - 디자인 원리 (스케일, 균형의 원리, 조화) (0) | 2024.03.23 |
실내건축기사 무료 동영상 강의 - 디자인 요소 (질감, 문양, 공간)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