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관분석

경관이란 눈에 보이는 자연경관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경관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토지, 동식물 생태계, 인간의 사회적 · 문화적 활동을 포함

 

2. 경관요소

1) 점 · 선 · 면

① 점: 외딴집, 정자나무, 독립수, 분수, 음수대, 조각물 등 점적인 요소

② 선: 하천, 도로, 가로수, 냇물, 원로, 생울타리 등 선적인 요소

③ 면: 호수, 경작지, 초지, 전답(田沓), 운동장 등 면적인 요소

 

2) 수평 · 수직

① 수평: 안락, 평화, 평등 등의 느낌 (저수지, 호수)

② 수직: 극적이고 강한 느낌 (독립수, 전신주, 굴뚝, 남산타워)

 

3) 닫힌공간 열림공간

① 닫힌공간(위요공간): 계곡이나 수목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적인 시설 배치에 적당

② 열린공간(개방공간): 운동장, 경작지 등과 같이 넓은 공간으로 동적인 시설 배치에 적당

 

4) 랜드마크(Landmark)

① 식별성 높은 지형 등의 시설물

② 절벽, 기념탑, 63빌딩, 롯데타워 등

 

5) 통경선(Vista)

좌우로의 시선이 제한되어 전방의 일정 지점으로 시선이 모이도록 

구성된 경관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조경미

※ 경관의 구성요소

조경미는 조경부지 내에 모든 조경재료를 배치함에 있어서 시·청각적으로 보이는 점, 선, 면, 형태, 질감, 비례,

균형, 중량 등을 효과적으로 잘 활용했을 때 이루어지는 조화로 내용미, 표현미, 형태미를 말한다.

 

1) 선

수직선 강한 느낌, 존엄서, 상승성, 엄숙, 위엄, 권위
수평선 평화, 친근, 안락, 평등, 정숙 등 편안한 느낌 (예) 대지의 고요함
사선 속도, 운동, 불안정, 위험, 긴장, 변화, 활동적 느낌
곡선 부드러움, 우아함, 여성적, 섬세한 느낌 (예) 구릉지, 하천의 곡선
직선 두 점 사이를 가장 짧게 연결한 선으로 굳건하고, 남성적, 일정한 방향을 제시 (예) 산봉우리
지그재그선 유동적이고 활동적, 호기심, 흥분, 여러 방향을 제시

 

2) 질감

① 물체의 표면이 빛을 받았을 대 거칠고 매끄러운 정도를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감각

② 질감의 결정사항

     ⓐ 지표상태: 잔디밭, 농경지, 숲, 호수 등 각각의 독득한 질감을 갖는다.

     ⓑ 관찰거리: 거리에 따라 질감을 고려한다.

     ⓒ 적은 면적일수록 고운 질감을 식재한다.

     ⓓ 잎이 큰 버즘나무는 잎이 작은 철쭉 등에 비해 질감이 거칠게 느껴진다.

 

3) 색채

① 색채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가장 직접적인 요소이며, 질감과 함께 경관 분위기 조성에 지배적 역할

② 따뜻한 색(난색): 정열적, 온화, 친근한 느낌

③ 차가운 색(한색): 지적, 냉정함, 상쾌한 느낌

④ 가볍게 느껴지는 색: 명도의 영향을 받아 밝은색일수록 더 가볍게 느껴진다.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선택조건 
① 쉽게 옮겨 심을 수 있을 것
② 착근 후 잘 성장할 수 있을 것
③ 그 땅의 토질에 적용
④ 가지를 다듬어 모양을 다듬을 수 있을 것
⑤ 병충해 없고 상처 흔적 없을 것
⑥ 수형이 아름다울 것

2. 조경수목의 분류
· 잎의 형태
① 상록침엽수 : 향나무, 가문비나무, 미국측백나무, 히말라야시이더, 주목, 편백나무, 섬잦나무
② 낙엽침엽수 : 메타스퀘어, 낙우송, 낙엽송, 은행나무
③ 상록활엽수 : 동백나무, 광나무, 후박나무, 사철나무, 구실잣밤나무, 귤거리나무
④ 낙엽활엽수 : 박태기나무,수수꽃다리, 무궁화, 단풍, 백목련, 벛나무, 버드나무, 느티나무, 벽오동
⑤ 특 수 수종 : 종려나무, 야자, 유카등
⑥ 대나무  류 : 섬대, 이대, 조릿대


· 대교목 20M     대관목  2M
· 중교목 10M     중관목  1M
· 소교목  5M     소관목 50Cm

· 이용에 의한 분류
① 가로수 : 은행나무, 프라타나스, 가중나무, 미루나무(버드나무), 벽오동
② 녹음수 : 낙엽활엽수, 느티나무, 튤립나무, 먹구슬나무, 가중나무, 벽오동
③ 방풍수 : 가시나무, 사철나무,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편백나무, 화백나무
④ 방화수 : 구실잣밤나무, 층층나무, 동백나무, 굴거리나무, 은행나무, 식나무, 아왜나무
⑤ 산울타리 : 화백나무, 사철나무, 향나무, 쥐똥나무, 광나무, 꽝꽝나무
⑥ 지피식물 : 향나무, 누운향나무, 회양목, 상록성 철쭉
⑦ 식이식물 : 감탕나무, 식나무, 후피나무, 팽나무, 팔손이나무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조경(造景)이란?

정원을 포함한 옥외공간을 조형적으로 다루는 일로 외부공간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하는 전문분야이다.

 

2. 조경의 의미

1) 좁은(협의)의미: 집 주변의 옥외공간이 주 대상(정원사)

2) 넓은(광의)의미: 정원을 포함한 광범위한 옥외공간(조경가)

 

3. 동양 3국 및 미국의 조경용어

1) 한국: 조경(造景)

2) 중국 · 북한: 원림(園林)

3) 일본: 조원(造園)

4) 미국: Landscape, Architecture

 

4. 조경의 대상

1) 정원: 주택정원, 학교정원, 옥상정원, 실내정원, 아파트 등 공동주거단지정원 등

2) 도시공원: 소공원, 어린이공원, 근린공원, 묘지공원, 도시자연공원, 체육공원, 문화공원, 역사공원

    수변공원, 생태공원 등

3) 자연공원: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천연기념물보호구역, 지질공원 등

4) 문화재: 궁궐, 전통민가, 사찰, 성곽, 고분, 사적지, 목조와 석조 건축물, 서원 등

5) 레크레이션 시설(위락관광시설): 골프장, 야영장, 경마자, 스키장, 유원지, 휴양지, 삼림욕장, 낚시터,

    해수욕장, 수상스키장 등

6) 기타: 공업단지, 캠퍼스, 주택단지, 고속도로, 자전거도로, 보행자 전용도로 등

 

5. 조경프로젝트 수행단계

1) 계획: 자료의 수집, 자료의 분석, 자료의 종합

2) 설계: 자료를 활용하여 기능적 · 미적인 3차원적 공간을 창조

3) 시공: 공학적 지식, 생물을 다루는 기술, 특수한 기술을 필요로 함

4) 관리: 식생 이용관리, 시설물 이용관리

 

세정코리아 조경기능사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아파트경리실무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조경계획의 과정

① 목표설정: 계획의 기본 방향 설정(공원, 골프장등 건설)

② 자료 분석, 종합: 조사분석, 종합 및 평가(개념도를 이용한 대안의 작성 등)

③ 기본계획

    · 기본골격, 마스터플랜(master plan), 큰 아이디어, 몇 개의 대안 비교 평가하여 최종안 선택

    · 부문별 계획 : 토지이용계획, 교통동선, 시설물 배치, 식재계획, 하부구조계획, 집행계획 등

2. 미기후(Micro climate)

① 지형이나 풍향 등에 따라 부분적 장소의 독특한 기상 상태

② 태양복사열 정도, 공기유통, 안개, 서리피해 유무, 일조시간, 대기오염 자료 등

 

 

3. 시방서

① 설계, 제조, 시공 등 도면으로 나타낼 수 없는 사항을 문서로 적어서 규정

② 표준 시방서: 조경고사 시행의 적정을 기하기 위한 표준 명시

③ 특기 시방서: 해당 공사만의 특별한 사항 및 전문적인 사항을 기재, 표준 시방서에 우선함

4. 후정(Private living): 우리나라 전통 건축의 후원과 유사한 공간

① 내부공간: 침실과 같은 휴양공산과 연결, 조용 정숙한 분위기

② 침실에서의 전망이나 동선은 살리고, 외부와는 시각적/기능적 차단

③ 작업정: 전정이나 후정과는 시각적으로 어느 정도 차단

 

조경기능사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무료동영상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한국조경의 특징

1) 공간 처리에 있어서 직선을 기본으로 함

   (예) 경복궁

2) 신선사상을 배경

   (예) 경회루, 향원정, 백제 궁남지, 통일신라, 안압지

3) 후원(後園)에는 계단상 화계(花階)를 만듦(아미산화계, 낙선재확), 대조전화계)

4) 공간구성이 단조롭게 구성됨

5) 원림 속의 풍류적인 멋을 느낄 수 있음

6) 낙엽활엽수로 식재하여 계정변화 표현

7) 정원의 연못행태와 구성이 단조로은 직선적인 방지를 기본으로 함

※ 예외: 안압지(직선 + 곡선)

 

 

2. 삼국시대

1) 고구려

안학궁
(427년)
· 장수왕 때 축조,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자연풍경 묘사
· 남쪽에는 자연곡선형의 연못(4개의 섬), 정자터
· 북쪽에는 인공적인 축산의 형태, 연못과 섬은 없음, 정자터
동명왕릉의
진주지
· 태액지원의 영향을 받앙 못 안에 봉래, 방장, 영주, 호랑 등 4개의 섬을 축조(신선사상 배경)
· 탄화된 연꽃과 정자의 기와 발견
대성산성 · 무기, 식량비축 등 군사기지의 역할과 유사시 왕궁 역할을 하였다.
· 우리나라 성곽 중 가장 많은 170개의 연못이 있다.
장안성(평양성)
(586년)
· 평원왕 때 외성(민가), 중성(관청), 내성(왕궁), 북성(군대)의 4성으로 축조되었다.

2) 백제

임류각
(동성왕 22년, 500)
· 궁원의 후원 구실을 하는 곳
· 희귀한 새와 짐승을 길렀던 연못이 있었다고 함
궁남지
(무왕 35년, 634)
· 우리나라 최초의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연못
· 궁 남쪽에 못을 파고 20여 리 밖에서 물을 끌어들였으며, 못 가운데 방장선산을 상징하는 섬을 조성
· 못 주위에는 버드나무 식재(정원식재 최초의 기록)
석연지 · 백제 말 의자왕 때 정원용 첨경물
· 화강암질의 돌을 둥근 어항과 같은 생김새로 만들어 그 안에 물을 담아 연꼿을 심었음
  (지름 약 18cm, 높이 1m)
· 궁남지를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함
· 조선시대의 세심석으로 발전함

※ 일본에 건축, 토목기술이 전해진 시대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무료동영상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중국조경의 특징

1) 경관의 조화보다는 대비에 중점

2) 자연경관 속에 인위적으로 암석, 동굴, 수목을 배치

3) 태호석을 사용한 석가산 수법 사용

4) 직선과 곡선을 사용

5) 사실주의보다는 사의주의, 회화풍경식, 자연풍경식

6) 하나의 정원 속에 부분적으로 여러 비율을 혼합하여 사용(한국, 영국 1:1, 일본 100:1)

7) 차경수법 도입(양차: 올려보기, 부차: 내려보기)

 

2. 한(漢) 시대

궁원(금원)

상림원
(上林園)
· 중국정원 중 가장 오래된 정원으로 장안에 위치
· 곤명호를 포함 6개의 대호수, 70채의 이궁과 3,000여종의 꽃나무 식재
· 황제의 수렵원(사냥터)으로 사용(중국정원 중 가장 오래된 수렵원)
· 곤명호 동서 양쪽에 견우직녀 석상을 세워 은하수를 상징하고, 길이 7m의 돌고래 상을 세움
태액지원 · 궁궐에서 가까운 궁원
· 신선사상에 의해 연못 안의 봉래, 방장, 영주 세섬을 축조, 지반에 청동이나 대리석으로 만든
  조수(鳥獸)와 용어(龍馭)의 조각을 배치

 

3. 진(晉) 시대

1) 왕희지의 난정기: 원정에 곡수를 돌리는 곡수거 조성의 기록(유상곡수연)

2) 도연명의 안빈낙도: 가난하지만 자연과 전원 속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지키는 생활을 추구

    (조선시대 원리생활에 영향을 끼침)

3) 고개지의 회화

 

 

4. 명(明) 시대

1) 궁원

ⓐ 어화원: 자금성 근처에 축조, 정원과 건축물이 모두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

ⓑ 경산: 자금성 북쪽에 위치, 풍수설에 따라 5개의 봉우리를 만들고 쌓아 올린 인조산

 

2) 민간정원

ⓐ 미만종의 작원

   · 명(明)시대의 대표적 정원으로 작약을 정원식물로 사용

   · 물을 이용하여 큰 못을 만들고 물가에 버드나무, 물속에는 흰 연꽃을 심어 자연적인 경관을 조성

ⓑ 왕헌신의 졸정원

   · 소주에 조용한 중국의 대표적 정원으로 2/3 이상이 수경

   · 오늘날까지도 중국의 대표적 정원이라 불리는 정원

   · 여수동좌헌이라는 부채꼴 모양의 정자가 있음

   · 부채꼴 모양의 정자 3곳

     (창덕궁 후원의 관람정, 사자림의 선지정, 졸정원의 여수동좌현)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무료동영상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아황산가스로 인한 피해와 염분

  ① 아황산가스로 인한 피해
     · 기온이 높고 일사가 강할수록 피해가 큼
     · 강한 수종: 비자, 향나무, 가시나무류
  ② 염분(염분의 피해한계농도)
     · 잔디: 0.1%
     · 수목: 0.05%
     · 채소류: 0.04%


2. 조경수목의 기능식재

  ① 차폐식재: 차폐이론, 차폐식재용 수종
  ② 가로막이 식재: 경계표시, 눈가림
  ③ 녹음식재: 수목조건, 수종

 

 




3. 경관을 위한 식재수법

  ① 점형식 식재
     · 요점식재
  ② 자연풍경식의 기본패턴
     · 부등변삼각형 식재
     · 모아심기
     · 산재식재
     · 배경식재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세정코리아 - 무료동영상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세정코리아,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조경계획의 과정
① 목표설정: 계획의 기본 방향 설정(공원, 골프장등 건설)
② 자료 분석, 종합: 조사분석, 종합 및 평가(개념도를 이용한 대안의 작성 등)
③ 기본계획
    · 기본골격, 마스터플랜(master plan), 큰 아이디어, 몇 개의 대안 비교 평가하여 최종안 선택
    · 부문별 계획 : 토지이용계획, 교통동선, 시설물 배치, 식재계획, 하부구조계획, 집행계획 등

 

2. 미기후(Micro climate)
① 지형이나 풍향 등에 따라 부분적 장소의 독특한 기상 상태
② 태양복사열 정도, 공기유통, 안개, 서리피해 유무, 일조시간, 대기오염 자료 등

 

 

3. 시방서
① 설계, 제조, 시공 등 도면으로 나타낼 수 없는 사항을 문서로 적어서 규정
② 표준 시방서: 조경고사 시행의 적정을 기하기 위한 표준 명시
③ 특기 시방서: 해당 공사만의 특별한 사항 및 전문적인 사항을 기재, 표준 시방서에 우선함

 

4. 후정(Private living): 우리나라 전통 건축의 후원과 유사한 공간
① 내부공간: 침실과 같은 휴양공산과 연결, 조용 정숙한 분위기
② 침실에서의 전망이나 동선은 살리고, 외부와는 시각적/기능적 차단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맥스캠퍼스

맥스캠퍼스,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sjcorea.co.kr

1. 고대로마

1) 배경

① 자연환경: 겨울에는 온난하고 여름은 몹시 더워 구릉지에 빌라(Villa)가 발달하는 계기

② 건축

    · 건축양식은 열주(列住)의 형태

    · 원형극장, 투기장, 목욕탕, 고가도로 등이 발달

③ 조경: 사이프러스, 감탕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풍부하게 자생

 

2) 주택정원

구성 제1중정
(아트리움)
제2중정
(페리스탈리움)
후정
(지스터스)
무열주 중정 주랑식 중정 후원
목적 공적장소(손님접대) 사적공간(가족공간  
특징 · 천창(天窓 채광)
· 임플루비움
  (빗물받이 수반) 설치
· 바닥은 돌 포장
· 화분장식
· 바닥은 포장하지 않음(식재가능)
· 분수, 조각, 돌수반, 식재 등을 정형식
 으로 배치
· 개방된 중정
· 제1,2중정과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
· 5점형 식재
· 관목 군식

 

 

2. 수도원 정원(전기) -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발달

1) 특징

① 실용위주 정원: 채소원, 약초원

② 장식위주 정원: 회랑식 중정원(크로이스트 가든)

 

2) 회살식 중정

① 기둥 사이에 흉벽이 만들어져 있어서 일정한 방향 외에는 출입이 불가능한 폐쇄적인 중정

② 2개의 원로를 4분원한 원로의 교차점을 파라디소라 하며, 수목, 돌수반, 분수, 우물 등을 배치

 

3. 스페인 정원의 특징

1) 회교문화의 영향을 입은 독특한 정원 양식

2) 물과 분수의 풍부한 이용

3) 대리석과 벽돌을 이용한 기하학적 형태

4) 매듭무늬 화단, 화려한 식물을 사용하여 다채로운 색채를 도입한 섬세한 장식

5) 중정구성이 독특함(patio식)

6) 파티오(Patio)는 웅대함보다는 화려함(다채로운 색)이 극치를 이루는 정원

7) 안달루시아(Andalusia) 지방에서 발달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맥스캠퍼스 - 무료동영상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맥스캠퍼스,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