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형식정원

1) 특징

① 서아시아와 유럽지역에서 발달한 정원

② 건물에서 뻗어 나가는 강한 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

③ 수목을 전지, 전정하여 기하학적 모양으로 정원을 장식

 

2) 종류

중정식 · 건물로 둘러싸인 내부, 중세 수도원 정원 (회랑식), 스페인 정원 (중정식), 연못 중심
노단식 · 경사지에서 발달하며, 계단식 처리
· 메디치장 (이탈리아, 르네상스 최초의 빌라), 공중정원 (서부아시아)
평면기하학식 · 평야지대에서 발달하며 평면기하학식 처리
· 보르비꽁트 (프랑스,  최초의 평면기하학식)
· 평면상의 대칭 또는 방사형태로 구성

 

 

2. 자연식 정원

1) 특징

① 동아시아, 18세기 영국정원에서 발달한 양식으로 정원 구성에서 자연적 형태를 이용

② 자연을 축소하거나 모방하여 자연적 형태로 정원을 조성함

③ 주변을 돌아볼 수 있는 산책로를 만들어 다양한 경관을 즐기도록 조성함

 

2) 종류

전원풍경식 · 넓은 잔디밭을 이용한 전원적이며, 목가적인 자연풍경 (영국, 독일)
회유임천식 · 숲과 깊은 굴곡의 수변을 이용하여 조화롭게 곳곳에 다리를 설치
고산수식 · 불교의 영향으로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나무, 바위, 왕모래를 사용
· 대표정원: 대덕사 대선원, 용안사 방장선원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맥스캠퍼스 - 무료동영상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재경관리사, 전산세무

맥스캠퍼스, 무료인터넷강의, 손해보험중개사, 생명보험중개사, cklu, aklu, 전산세무, 전산회계, 경리실무

www.sjcorea.co.kr

 

1. 조경계획과정 (1)

1) 조경계획은 목표-분석-종합-기본구상-기본계획-기본설계-실시설계-시공 및 감리단계로

    구분된다.

2) 조경계획의 접근법은 자연에서 토지이용으로서의 조경계획과 인간관점의 레크레이션

    계획으로서의 접근법으로 구분된다.

3) 설계과제는 주어진 시간과 비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만족스러운 안이 현실적인 안이다.

4) 설계방법론은 체계적과정-참여설계-예측과 반박-순환적과정으로 구분된다.

 

 

2. 조경계획과정 (2)

1) 조경계획 시 분석을 토대로 한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전략으로 구분하여 대상지를 분석하여

    활용한다.

2) 조경계획의 세부과정은 프로그램작성-기본구상 및 대안작성-기본계획안-기본설계안-실시설계의

    세부과정으로 나누어진다.

    조경기본계획안을 마스터플랜이라고 하며 토지이용계획, 교통동선계획, 시설물 배치계획,

    식재계획, 하부구조계획, 집행계획으로 나누어 최종안을 작성한다.

3) 기본설계는 계획의 각 부분을 발전시켜 도면화하며 실시설계는 실제 시공이 가능하도록

    상세한 시공도면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4) 사전검토는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한 환경영향평가와 사후평가인 이용후평가로 구분된다.

    환경영향평가는 전략환경영향평가, 소규모 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로 구분한다.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조경사 개요와 이집트 조경

1) 정원발달의 직접적영향은 지형, 기후이며, 세계 3대 정원양식은 정형식, 자연풍경식, 절충식이다.

2) 서양 정원양식의 발달순서 개략적으로 보면 16C 이탈리아의 노단건축식 정원 → 17C 프랑스의

    평면기하학식 정원 → 18C 영국의 자연풍경식 정원발달하였다.

3) 이집트 정원을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① 주택정원은 기후의 영향으로 높은 울담과 수목을 열식하였으며 키오스크와 연못이 있었다

② 신원: 현존하는 최고의 정원유적으로 핫셉누트여왕의 장제신전이 있다.

③ 사자의 정원: 무덤앞의 소정원으로 레크미라무덤벽화에서 추측할 수 있다.

 

 

2. 서부아시아(메소포타미아)조경과 그리스 조경

1) 서부아시아는 최초로 도시국가가 형성되었으며, 다신교이며 지방마다 지방신이 있었다.

2) 대표적 조경은 수렵원, 바빌로시의 공중정원, 파라다이스가든이 있다. 특히, 파라다이스 정원은

    중세 이슬람정원의 기본양식으로 도입되었다.

3) 그리스는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로 연간 온난하고 다습하여 주로 국민들은 옥외생활을 즐겼다.

4) 그리스의 주택정원은 궁전정원, 귀족의 주택정원, 아도니스원으로 구분된다. 특히 아도니스원은

    그리스신화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포트가든, 윈도우가든, 옥상정원에 영향을 미쳤다.

5) 공공조경은 성림, 짐나지움, 아카데미를 예로 들 수 있다.

6) 도시계획은 최초의 도시계획가인 히포데이무스가 밀레토스에 격자형가로망계획을 하였다.

    그리고 서양 최초의 광장인 아고라가 등장하였다.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자연공원의 유형
① 유형별 분류
· 국립공원, 도립공원, 광역시립공원, 군립공원, 시립공원, 구립공원, 지질공원
② 용도별 분류
·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마을지구, 공원문화유산지구

 

2. 조경제도
① 제도용구
· 연필, 제도용지, 템플릿
② 설계도의 종류
·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상세도
③ 제도순서방법
· 축적을 정한다.
· 도면의 윤곽을 정한다.
· 도면의 위치를 정한다.
· 제도를 한다.
④ 수목의 규격 표시

 

 

3. 조경계획
① 조경계획의 과정
· 목표설정 → 자료분석, 종합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시공 및 감리 → 유지관리
② 조경설계의 과정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시공 및 감리 → 유지관리
③ 경관분석
· 점, 선, 면적인 요소

 

4. 식재의 기준 또는 목적
① 공간조절
· 경계식재, 유도식재
② 경관조절
· 지표식재(높은 식별성), 경관식재, 차폐식재(담장 역할)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재료에 따른 분류

1) 생명성

① 식물재료 : 수목, 잔디, 지피식물, 초화류 등 생물재료

② 시설재료 : 목재, 시멘트, 콘크리트, 점토, 역청, 플라스틱, 미장 등 무생물재료

2) 생산방식

① 자연재료 : 자연에서 만들어진 것(수목, 지피식물, 초화류, 돌, 목재, 물 등)

② 인공재료 : 물리적 · 화학적 가공을 통해 공장에서 생산하는 것

 

2. 식물 재료의 특성

자연성, 조화성, 연속성, 다양성(비규격성)

 

 

3. 잎의 모양에 따른 분류

침엽수 : 잎 모양이 바늘처럼 뾰족하며, 꽃이 피지만 꽃 밑에 씨방이 형성되지 않는 겉씨식물(나자식물)로

잎이 좁다.

① 2엽속생 : 소나무, 곰솔(해송), 흑송, 방크스소나무, 반송

② 3엽속생 : 백송, 리기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대왕송

③ 5엽속생 : 섬잣나무,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④ 침엽수 : 소나무, 곰솔(해송), 잣나무, 전나무, 구상나무, 비자나무, 편백, 화백, 낙우송, 메타세쿼이아 등

⑤ 활엽수 : 태산목, 먼나무, 굴거리나무, 호두나무, 서어나무,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칠엽수, 왕벚나무 등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공원시설의 종류

① 조경시설 : 화단, 분수, 조각, 관상용 식수대, 잔디밭, 산울타리 등

② 휴양시설 : 휴게소, 긴 의자, 야유회장 및 야영장, 경로당, 노인복지회관 등

③ 유희시설 : 그네, 미끄럼틀, 순환회전차, 모험놀이장, 발물놀이터 등

④ 운동시설 : 테니스장, 수영장, 궁도장, 실내사격장, 골프장, 자연체험장 등

⑤ 교양시설 : 식물원, 동물원, 수족관, 박물관, 야외음악당, 도서관, 야외극장 등

⑥ 편의시설 : 주차장, 매점, 화장실, 우체통, 공중화장실, 음식점, 음수장 등

 

2. 자연공원의 발생

① 세계 최초의 자연공원

  · 1865년 미국 캘리포니아 요세미티 공원

  · 현재 국립공원으로 지정

② 세계 최초의 국립공원  : 1872년 몬테나 중의 옐로스톤 국립공원

③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 : 1967년 12월 지리산 국립공원

④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공원 : 탑골(파고다) 공원

 

 

3. 골프장

① 티(Tee) : 출발지역으로 1~2% 경사가 있으며, 면적은 400~500㎡ 정도

② 그린(Green) : 종점지역으로 2~5% 경사가 있으며, 면적은 600~900 정도

③ 해저드(Hazard) : 연못, 하천, 냇가, 계곡 등의 장애구역

④ 벙커(Bunker) : 모래웅덩이를 조성해 놓은 곳

⑤ 러프(Rough) : 페어웨이와 그린 주변의 풀을 깎지 않은 초지로 이루어진 지역

⑥ 페어웨이(FairWay) : 티와 그린 사이에 짧게 깎은 잔디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2~10% 경사를 유지

⑦ 에이프런(Apron) : 그린 주위에 일정한 폭으로 풀을 깎지 않고 그대로 둔 지역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산림경관의 유형

1) 전 경관 : 조감도 성격

2) 지형경관 : 산봉우리, 절벽

3) 위요경관 : 숲속의 호수

4) 초점경관 : 비스타

5) 관계경관 : 숲속의 오솔길

6) 일시적 경관 : 기상변화, 계절시간

 

2. 경관구성의 기본원칙

1) 통일성 : 조화, 균형, 대치, 강조

2) 다양성 : 비례, 율동, 대비

 

 

3. 미기후

지형이나 풍향 등에 따른 부분적 장소의 독특한 기상 상태

 

4. 자료분석 및 종합

1) 자연환경분석 : 지형, 토양, 식생, 토질, 수문, 야생동물, 기후

2) 인문환경분석 : 인구조사, 토지이용, 교통조사, 시설물조사

 

 

5. 기본구상

수집한 자료를 종합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개략적인 계획안을 결정하는 단계, 버블 다이어그램으로 표현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수도원 정원

① 전기 수도원 정원 (이탈리아에 영향) : 실용적, 장식 위주의 정원, 회랑식 중정 (클라우스트 룸)

② 후기 성관 · 성곽정원 (프랑스, 영국에 영향) : 방어목적으로 해자를 만듦

 

2. 스페인 정원

① 특징 : 회교문화의 영향, 파티오 (patio)는 웅대함보다는 화려함 (다채로운 색)이 극치

② 알함브라 궁원 (4개의 중정)

   · 알베르카의 중정 : 도금양, 천인화

   · 사자의 중정 : 12마리의 사자

   · 다하라의 중정 : 여성적인 분위기

   · 창격자의 중정 : 사이프러스 바닥은 색자갈 연출

 

 

3. 이탈리아 (15C, 노단식)

① 특징 : 지형 극복을 위해 노단과 경사지를 이용, 빌라 메디치 (최초의 노단 건축식)

② 르네상스 3대 빌라 : 에스테장, 랑테장, 파르네장

 

4.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① 특징 : 소로, 비스타 (Vista), 운하, 화려한 장식, 총림 등

② 보로비콩트 정원 (최초의 평면기하학식), 베르사유 궁원 (세계최대규모의 정형식)

 

 

5. 영국 (18C, 자연풍경식)

① 스토우 정원 : 브리지맨과 켄트가 만듦 → 켄트와 브라운이 수정 → 브라운이 개조하여 완성

② 브리지맨 (하하수법), 켄트 (자연은 직선을 싫어한다.), 험프리 랩턴 (레드북), 챔버 (큐가든)

③ 공공정원 (19C) : 버컨헤드 공원은 미국 센트롤 파크 (Central Park) 설계에 영향을 줌

 

6. 독일

실용적 정원이 발달, 분구원 (소정원을 시민에게 대여)

 

 

7. 현대조경

센트롤 파크 (최초의 도시공원), 옐로우스톤 (최초의 국립공원)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기초제도

① 도면 왼쪽의 여백은 철할 때 4면 중 왼쪽 만은 25mm, 나머지는 10mm 정도의 여백을 준다.

② 표제란에는 공사명, 도면명, 범례, 축척, 설계자명, 도면 번호, 설계 일시 등을 기입한다.

③ 치수표시

    ⓐ 치수의 단위는 mm를 원칙으로 하며 단위는 표시하지 않는다.

    ⓑ 치수선, 치수보조선은 가는 실선으로 제도한다.

    ⓒ 치수는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 나간다.

    ⓓ 치수선은 치수보조선에 수직(직각)이 되도록 기재한다.

    ⓔ 치수기입은 중간에 하고 수평일 경우 상단에, 수직일 경우 왼쪽에 기재한다.

    ⓕ 치수보조선은 치수 공간이 부족할 경우 한 쪽의 기호를 넘어서 연장하는 치수선의 위쪽에 기입할 수 있다.



                                                                   



2. 설계도의 종류

평면도

 물체를 수직으로 내려다본 것으로 가정하고 작도한 것

입면도

 물체를 정면에서 본대로 그린 그림으로, 수직적 공간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단면도

 구조물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의 모습으로 지하부분 설명 시 사용된다.

조감도

 새가 하늘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시각으로 그린 그림(3소점)

투시도

 평면도, 단면도 등 설계안대로 실제 완성된 모습을 가상하여 그린 것


3. 배식설계

① 정형식 배식 : 단식, 대식, 열식, 교호식재, 군식(정형식)

② 자연식 배식 : 부등변 상각형 식재, 임의식재, 군식(자연식), 배경식재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1. S. Gold의 레크리에이션 계획 접근방법

자원접근방법

 물리적 자원 혹은 자연자원이 레크리에이션의 유형과 양을 결정하는 방법

활동접근방법

 과거 참가사례가 앞으로의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결정하도록 계획하는 방법

형태접근방법

 일반 대중이 여가시간에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가를 상세히 파악하여 계획하는 방법

경제접근방법

 경제적 기반이나 예산 규모가 레크리에이션의 종류, 입지를 결정하는 방법



2. 현대의 도시설계

전원도시론

하워드

 도시 생활의 편리함과 농촌생활의 이로움을 함께 지닌 전원도시

그린주구이론

C.A. 페리

 · 초등학교 학생 1,000~2,000명에 해당하는 거주 인구가 5,000~6,000명

 · 쿨데삭(Cul-de-sac)과 루프형 집분산도 설치, 주구의 외곽은 간선

   도로로 경계 형성

레드번시스템

라이트와스타인

 · 영국 하워드의 전원도시 개념을 적용하여 미국에 전원도시 건설

 · 슈퍼블록(10~20ha)을 계획하여 보행자와 차량을 분리


3. 녹지계통의 형식

① 방사환상식: 이상적인 도시녹지 형태

② 방사식: 시민들의 빠른 대피에 효과를 발휘하는 녹지형태


4. 자료분석 및 종합

① 자연환경분석: 지형, 토양, 식생, 토질, 수문, 야생동물, 기후

② 인문환경분석: 인구조사, 토지이용, 교통조사, 시설물조사


5. 기본계획

최종적으로 선택한 대안을 기본계획(Master plan)으로 확정

토지이용계획

 토지이용분류 → 적지분석 → 종합배분 순서로 계획

교통, 동선계획

 통행량 발생, 통행량 배분, 통행로 선정, 교통 · 동선 체계 계획

시설물 배치계획

 시설물 평면계획, 형태 및 색채계획, 재료계획

하부구조계획

 전기, 전화, 상수도, 가스, 쓰레기 등 공급처리시설 계획

식재계획

 수종선택, 배식, 녹지체계의 계획

집행계획

 투자계획, 법규검토, 유지관리계획



조경기능사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