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사연구의 기초무제와 가설의 형성
ⓐ 생태학적 오류 : 집단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에 근거해서 개인에 대해서도 똑같은 것이라고
가정할 때 발생하는 오류
ⓑ 개인주의적 오류 : 개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에 근거해서 집단에 대해 서도 똑같을 것이라고
가정할 때 발생하는 오류
ⓒ 환원주의적 오류 : 다양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원인이라고 생각될 수 있는 개념이나 변수의
종류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
ⓓ 조작정 정의 : 추상적인 개념을 실증적이고 경험적을 측정 가능하도록 구체화한 정의를 말한다.
2. 측정과 척도
ⓐ 측정 : 대상의 특성이나 속성에 대하여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과정
ⓑ 척도 : 일정한 규칙에 따라 관찰된 현상에 대해서 수치나 기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 객관화 : 주관성을 넘어서 보편타당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 기호화 : 자료의 처리와 분석이 용이하도록 자료에 기호(보통수치)를 할당하는 일을 의미
3. 측정에서 신뢰도와 타당도
ⓐ 요인분석 : 타당도 평가방법
ⓑ 상관계수 : 변수들 간의 연관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
ⓒ 개연성 계수 : 카이스퀘어에 근거한 상관성의 측정치
ⓓ 카이스퀘어 :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기술통계분석에서 주로 활용되는 통계치
ⓔ gamma : 서열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수
ⓕ 기준타당도 : 경험적인 근거를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 특정 개념에 대한 기존에 알려진 측정도구와 측정결과를 기준으로 삼고 동일한 개념에 대해 새로운 측정 도구의 측정결과의 타당도를 비교 검토하는 것
ⓖ 수렴타당도 :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경우 상이한 측정도구를 사용해도 유사한 결과를 낳아야 한다는 것
ⓗ 판별타당도 : 동일한 측정도구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는 경우 결과에는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것
ⓘ 내용타당도 : 작성된 측정도구의 항목들이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적절하게 포함하고 있는지
를 논리적으로 검토하는 것
ⓙ 기준관련타당도 : 기존의 측정도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
ⓚ 구조적 타당도 :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작성되 었는지를 관련되는
다른 개념 및 이론적 틀 속에서 분석하는 것
ⓛ 이해타당도 : 특정한 구성개념을 이론적 구성에 딸 체계적이고 논리적이며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 수렴타당도 :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경우 상이한 측정도구를 사용해도 유사한 결과를 낳아야한다는 것
ⓝ 판별타당도 : 동일한 측정도구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는 경우 결과에는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것
사회복지사1급 무료 동영상 강의 (www.sjcorea.co.kr)
'사회복지사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1급 무료 동영상 강의 - 질문지 구성과 자료수집 요점정리 (0) | 2016.01.07 |
---|---|
사회복지사1급 무료 동영상 강의 - 우리나라 사회복지 입법 변천사 요약정리 (0) | 2015.11.29 |
사회복지사1급 무료 동영상강의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요약정리 (0) | 2015.11.20 |
사회복지사1급 요약정리 - 개별성의 원리, 의도적인 감정표현 (0) | 2015.09.14 |
사회복지사1급 요약정리 2015 - 사회복지정책의 발달론 (0) | 2015.09.14 |